광산김씨 공신

본문

2. 조선시대정공신 7위

back.gif

 

no

휘자(諱字)

시대

공신명

비고

1

21

국광(國光)

1467

세조

정충포의적개공신(二等功臣)

(精忠布義敵愾功臣)

 

 

 

 

1471

성종

순성명량경제홍화좌리공신(一等功臣)

(純誠明亮經濟弘化佐理功臣)

 

2

22

백겸(伯謙)

1467

세조

정충포의적개공신(二等功臣)

(精忠布義敵愾功臣)

 

3

22

면(沔)

1467

세조

정충포의적개공신(二等功臣)

(精忠布義敵愾功臣)

 

4

22

겸광(謙光)

1470

성종

순성명량좌리공신(三等功臣)

(純誠明亮佐理功臣)

 

5

30

극성(克成)

1506

중종

정국공신(靖國功臣)(四等功臣)

 

6

23

태흘(泰屹)

1624

인조

갈성분위진무공신(竭誠奮威振武功臣)

(三等功臣)

 

7

30

만기(萬基)

1680

숙종

분충효의병기협모보사공신 1등

(奮忠效義炳幾協謨保社功臣 一等)

 

 

29

익훈(益勳)

1680

숙종

분충효의병기협모보사공신 2등

(奮忠效義炳幾協謨保社功臣 二等)

삭탈(削奪)

 

편집자주

① 김태흘(한풍군(漢豊君)) 본관 : 『국조상훈록(國朝相勳錄)』(국립중앙도서관[BC古朝57-가812])에 "수원(水原)"으로 기록되어 있음. 『광산김씨족보(光山金氏族譜)』(1747) 권16下 별편(別編)과 『광산김씨족보(光山金氏族譜)』(1876) 권27下 추편(追編)에 "敬厚-誾-宅甌-致洪-繼坤-壽麗-得鎔-泰屹-孝信-世老" 계통이 기록되어 있음.

 

② 김익훈 : 1689년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재집권하자 공신칭호 박탈당함.

 

③ 공신이란 국가나 왕실을 위하여 공훈을 세운 사람에게 주던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을 지칭하는 것인데, 정공신과 원종공신으로 구분하고 공적의 내용과 직위의 고하에 따라 정공신은 1등에서 4등으로, 원종공신은 3등까지로 나누었다. 조선초기에는 정공신에 한하여 교서와 녹권을 아울러 주었으나 원종공신에게는 녹권만을 주었다.

 

④ 적개공신(敵愾功臣)

세조(世祖 13) 정해년(1467) 9월 20일에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칭호

    1등 정충출기포의적개공신(精忠出氣布義敵愾功臣)

    2등 정충포의적개공신(精忠布義敵愾功臣)

    3등 정충적개공신(精忠敵愾功臣)

 

⑤ 좌리공신(佐理功臣)

성종(成宗 2) 신묘년(1471) 3월 27일에 성종이 자신을 잘 보필하고 정치를 잘한 공으로 내린 칭호

    1등 순성명량경제홍화좌리공신(純誠明亮經濟弘化佐理功臣)

    2등 순성명량경제좌리공신(純誠明亮經濟佐理功臣)

    3등 순성명량좌리공신(純誠明亮佐理功臣)

    4등 순성좌리공신(純誠佐理功臣)

 

⑥ 정국공신(靖國功臣)

중종(中宗 1) 병인년(1506) 9월 8일에 중종반정에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칭호

    1등 병충분의협책익운정국공신(秉忠奮義協策翊運靖國功臣)

    2등 병충분의익운정국공신(秉忠奮義翊運靖國功臣)

    3등 병충분의정국공신(秉忠奮義靖國功臣)

    4등 정국공신(靖國功臣)

 

⑦ 진무공신(振武功臣)

인조(仁祖 2) 갑자년(1624) 3월 8일에 이괄(李适)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칭호

    1등 갈성분위출기효력진무공신(竭誠奮威出氣效力振武功臣)

    2등 갈성분위효력진무공신(竭誠奮威效力振武功臣)

    3등 갈성분위진무공신(竭誠奮威振武功臣)

 

⑧ 보사공신(保社功臣)

숙종(肅宗 6) 경신년(1680) 5월 18일에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에 공을 세운 신하 에게 내린 칭호

    1등 분충효의병기협모보사공신(奮忠效義炳幾協謨保社功臣) 1등

    2등 분충효의병기협모보사공신(奮忠效義炳幾協謨保社功臣) 2등

    3등 분충효의병기협모보사공신(奮忠效義炳幾協謨保社功臣) 3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