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현묘지명(金台鉉墓誌銘) [펌]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 작성일09-02-26 16:50 조회2,392회 댓글1건관련링크
본문
시대 고려
연대 1330년(충혜왕 즉위년, 원(元) 문종(文宗) 지순(至順) 원년)
유형/재질 묘지명·묵서명 / 미상
문화재지정 비지정
크기 미상
출토지 미상
소재지 (한국)-현존하지 않음
서체 미상
찬자/서자/각자 최해(崔瀣) / 김원준(金元俊) / 미상
묘지명은 부인 왕씨(王氏) 묘지명과 함께 1747년(영조 23)에 발견되었다.
묘지명은 최해(崔瀣)의 문집인『졸고천백(拙藁千百)』권1 및『광산김씨문간공파세보(光山金氏文簡公派世譜)』에 수록되어 있다.
묘지명은 1330년(충혜왕 즉위)에 최해가 작성하였다.
묘지명의 주인공 김태현(金台鉉, 1261~1330)의 자는 불기(不器)이며, 광산(光山) 사람이다.
스스로 호를 쾌헌(快軒)이라 했으며, 만년에는 설암(雪庵)이라 했다.
증조는 광세(光世), 조부는 경량(鏡亮), 아버지는 수(須)이다.
1275년(충렬왕 1) 사마시에 합격하였고, 이듬해 예부시에 합격하였다.
충렬왕·충선왕·충숙왕때의 관료로서 활동하였다.
또 우리 나라 사람들의 글을 손수 모아『동국문감(東國文鑑)』을 편찬하였다.
김의(金義)의 딸과 결혼했으나, 부인이 일찍 죽자, 다시 왕단(王旦)의 딸과 혼인하였다.
부인은 개성군대부인(開城郡大夫人)에 봉해졌다.
광식(光軾), 광철(光轍), 광재(光載), 광로(光輅) 등 4명의 아들과 각각 안목(安牧)과
박윤문(朴允文)의 부인이 된 2명의 딸이 있다. 첫 부인이 1남을 낳았고,
나머지는 모두 둘째 부인이 낳았다.
참고문헌
(단행본)金龍善, 2001, 『高麗墓誌銘集成(第三版)』,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단행본)金龍善, 2001, 『역주 고려묘지명집성(하)』,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논문)金龍善, 1988, 「新資料 高麗 墓誌銘 十七點」『歷史學報』117
연대 1330년(충혜왕 즉위년, 원(元) 문종(文宗) 지순(至順) 원년)
유형/재질 묘지명·묵서명 / 미상
문화재지정 비지정
크기 미상
출토지 미상
소재지 (한국)-현존하지 않음
서체 미상
찬자/서자/각자 최해(崔瀣) / 김원준(金元俊) / 미상
묘지명은 부인 왕씨(王氏) 묘지명과 함께 1747년(영조 23)에 발견되었다.
묘지명은 최해(崔瀣)의 문집인『졸고천백(拙藁千百)』권1 및『광산김씨문간공파세보(光山金氏文簡公派世譜)』에 수록되어 있다.
묘지명은 1330년(충혜왕 즉위)에 최해가 작성하였다.
묘지명의 주인공 김태현(金台鉉, 1261~1330)의 자는 불기(不器)이며, 광산(光山) 사람이다.
스스로 호를 쾌헌(快軒)이라 했으며, 만년에는 설암(雪庵)이라 했다.
증조는 광세(光世), 조부는 경량(鏡亮), 아버지는 수(須)이다.
1275년(충렬왕 1) 사마시에 합격하였고, 이듬해 예부시에 합격하였다.
충렬왕·충선왕·충숙왕때의 관료로서 활동하였다.
또 우리 나라 사람들의 글을 손수 모아『동국문감(東國文鑑)』을 편찬하였다.
김의(金義)의 딸과 결혼했으나, 부인이 일찍 죽자, 다시 왕단(王旦)의 딸과 혼인하였다.
부인은 개성군대부인(開城郡大夫人)에 봉해졌다.
광식(光軾), 광철(光轍), 광재(光載), 광로(光輅) 등 4명의 아들과 각각 안목(安牧)과
박윤문(朴允文)의 부인이 된 2명의 딸이 있다. 첫 부인이 1남을 낳았고,
나머지는 모두 둘째 부인이 낳았다.
참고문헌
(단행본)金龍善, 2001, 『高麗墓誌銘集成(第三版)』,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단행본)金龍善, 2001, 『역주 고려묘지명집성(하)』,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논문)金龍善, 1988, 「新資料 高麗 墓誌銘 十七點」『歷史學報』117
댓글목록
성봉님의 댓글
성봉 작성일
공의 묘지는 1747년 3월 후손 득서씨가 시굴하였다.
묘소는 개풍군 중면 대룡리 대야치에 있다.
본문 중
'부인은 왕단의 딸이다' 의 구절에서 왕정단의 딸이다(부인 왕씨묘지 원문)의 오기(誤記)이고
'김의(金義)의 딸과 결혼했으나' 구절에서
金義 는 金儀 의 오기(誤記)임을 덧 붙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