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학자료

문간공을 기리는 목은(牧隱)의 시(詩)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성봉 작성일09-03-04 22:58 조회2,183회 댓글0건

본문



문간공(諱 光載)을 기리는 목은(李穡))의 시(詩)

서대행(犀帶行) 오서홍정대(烏犀紅?帶) 두 벌은 익재(益齋)와 송정(松亭)이 전해 온 것이다.

무소의 뿔은 능히 하늘에 통하거니와
/ 犀牛有角能通天

불을 붙이면 깊은 못 속을 환히 밝히고
/ 火燃下燭窮深淵

고기 새겨 물에 넣으면 삼 척을 열어 주며
/ 刻魚入水劈三尺

돌로 만든 무소는 진의 강물을 진압했네
/ 磨石作象橫秦川

큰 띠 드리우면 금은어의 갈기 움직이어
/ 垂紳金銀魚?動

화려한 두 줄로 조정 의식 빛나기도 해라
/ 朝儀煥赫分華聯

중조에선 백옥대를 으뜸으로 쳤는데
/ 中朝白玉最第一

동국의 반열엔 이보다 앞설 것이 없으니
/ 東國班列無居先

이제 알건대 무소의 뿔은 특이한 물건으로
/ 是知犀也是異物

검은 바탕 누런 문채에 가볍고도 견고하네
/ 質黑文黃輕且堅

불가에선 도를 전수함에 의발이 있었으나
/ 僧家授受有衣鉢

유림의 성대한 일은 처음 누가 전했던고
/ 儒林盛事初誰傳

문풍의 소중함은 과거를 주관함에 달렸고
/ 文風所重在主擧

좌주와 문생 사이에 은의가 온전하나니
/ 座主門生恩義全

이 때문에 다행히 좌주가 무양한 시절에
/ 所以座主幸無恙

문생이 과시를 주관함은 우연이 아니라네
/ 門生掌試非偶然

하늘이 주지 않으면 감히 훔쳐 취하랴만
/ 天而不與敢竊取

나 같은 자야 어찌 삼 년 연속을 바랐으랴
/ 如我豈望連三年

익재는 눈으로 보며 두 줄기 눈물을 떨구었고
/ 益齋眼見落雙淚

송정은 오래전에 이미 신선이 되어 갔네
/ 松亭久已登神仙

익재는 글을 지어 이르기를 이 물건은
/ 益齋作書曰此物

열헌이 충렬왕의 경연 앞에서 얻은 것이라 했는데
/ 悅軒得之忠烈經筵前

왕이 이르길 너는 우리 문단의 으뜸이기에
/ 曰汝是我文場元

내 지금 네게 주노니 네가 어진 때문이다 했다네
/ 我今賜汝惟汝賢

송정의 자손이 친히 이것을 안고 왔으니
/ 松亭子孫親抱送

이 띠가 나온 곳은 예천부원군 권공이로세
/ 帶之所出權醴泉

두 가문의 훌륭한 자손은 동국에 빛나서
/ 兩家玉?照東國

문장과 정사로써 어깨를 서로 비비는데
/ 文章政事相磨肩

내가 이 영광 입은 건 내가 능해서가 아니라
/ 獨荷榮華非我能

가정이 남긴 경복이 한창 이어진 때문일세
/ 稼亭流慶方綿綿

출전: 牧隱集 - 목은시고(牧隱詩藁) 제14권-


* 익재(益齋)와 송정(松亭) : 익재는 이제현(李齊賢)의 호이고, 송정은 김광재(金光載)의
호인데, 목은에게는 모두가 좌주(座主)였다.

* 무소의 …… 통하거니와 : 무소의 뿔은 속이 상하(上下)가 관통(貫通)되었으므로 이른 말이다.

* 불을 …… 밝히고 : 전설(傳說)에 의하면, 무소의 뿔에 불을 붙여 비추면 깊은 물속의
괴물(怪物)들을 다 볼 수 있다고 하는데, 진(晉)나라 온교(溫嶠)가
일찍이 우저기(牛渚磯)에 이르렀을 때 그 물의 깊이를 헤아릴 수 없었고,
또 괴물이 많이 있다고 세상에 알려진 곳이었으므로, 마침내 무소의 뿔에
불을 붙여 비추어 보니, 온갖 기이한 형상을 한 수족(水族)들이 다
보였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 고기 새겨 …… 열어 주며 : 《포박자(抱朴子)》 등섭(登涉)에 “삼 촌(寸) 이상 되는 진짜
통천 서각(通天犀角)을 구하여 물고기 모양으로 새겨서 물속에 넣어두면
그 물고기가 사람을 위하여 사방 삼 척(尺)쯤의 공간을 항상 열어
줌으로 써,사람이 물속에서 호흡을 자유로이 할 수 있다.”고 한 데서 온 말.

* 돌로 …… 진압했네 : 진 효문왕(秦孝文王)이 일찍이 이빙(李氷)을 촉군 태수(蜀郡太守)로
삼아 그로 하여금 석서(石犀) 다섯 마리를 제작해서 촉강(蜀江)의
수정(水精)을 진압하게 했던 데서 온 말이다.

* 나 같은 …… 바랐으랴 : 이는 저자가 을사년(1365)에는 동지공거(同知貢擧)로,
기유년(1369)에도 동지공거로, 신해년(1371)에는 지공거(知貢擧)로
연이어 세 차례 과거를 주관했던 일을 가리킨다.

* 열헌(悅軒) : 조간(趙簡)의 호인데, 조간 또한 이제현의 좌주였다.

* 예천부원군(醴泉府院君) 권공(權公) : 권한공(權漢功)을 가리킨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보학자료 목록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