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서공 휘 선 사마방목 기록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성봉 작성일09-03-21 14:38 조회1,953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김선(金璇) 1568 (선조 1) - 1642 (인조 20)
[생원진사시]
선조(宣祖) 38년 (1605) 을사(乙巳) 증광시(增廣試) 진사(進士) 3등(三等) 2위
[인적사항]
字 : 이헌(而獻)
생년 : 무진(戊辰)1568
합격연령 : 38
본관 : 광주(光州)
거주지 : 나주(羅州)
[이력사항]
전력 : 유학(幼學)
[가족사항]
[부]
성명 : 김부성(金富成)
관직 : 통정대부(通政大夫) 상호군(上護軍)
[부모구존]
엄시하(嚴侍下)
[출전]
《사마방목(司馬榜目)》(韓國精神文化硏究院)
김선(金璇)에 대하여
1568(선조 1)∼1642(인조 20). 조선 중기의 학자. 본관은 광산. 자는 이헌(而獻), 호는 시서거사(市西居士) 또는 지서자(之西子). 전라남도 나주 출신. 아버지는 상호군(上護軍) 부성(富成)이다.
1606년(선조 39) 사마시에 합격하여 관계에 진출하였으나, 광해군의 어지러운 정치를 한탄하여 나주로 내려가 두문불출하였다.
1615년(광해군 7) 강진사람 이정언(李廷彦)·윤유겸(尹惟謙) 등이 그가 영창대군을 옹호하였다 하여 처벌할 것을 상소하였는데, 이로 인해서 인목대비의 폐모론이 나오게 되었다.
1623년 인조반정 후 참봉·찰방 등에 임명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양명학에 조예가 깊은 장유(張維)·임담(林?) 등과 친밀히 교유하였다.
저서에 《초당한람 草堂閑覽》이 있다.
[참고문헌]
光海君日記
[생원진사시]
선조(宣祖) 38년 (1605) 을사(乙巳) 증광시(增廣試) 진사(進士) 3등(三等) 2위
[인적사항]
字 : 이헌(而獻)
생년 : 무진(戊辰)1568
합격연령 : 38
본관 : 광주(光州)
거주지 : 나주(羅州)
[이력사항]
전력 : 유학(幼學)
[가족사항]
[부]
성명 : 김부성(金富成)
관직 : 통정대부(通政大夫) 상호군(上護軍)
[부모구존]
엄시하(嚴侍下)
[출전]
《사마방목(司馬榜目)》(韓國精神文化硏究院)
김선(金璇)에 대하여
1568(선조 1)∼1642(인조 20). 조선 중기의 학자. 본관은 광산. 자는 이헌(而獻), 호는 시서거사(市西居士) 또는 지서자(之西子). 전라남도 나주 출신. 아버지는 상호군(上護軍) 부성(富成)이다.
1606년(선조 39) 사마시에 합격하여 관계에 진출하였으나, 광해군의 어지러운 정치를 한탄하여 나주로 내려가 두문불출하였다.
1615년(광해군 7) 강진사람 이정언(李廷彦)·윤유겸(尹惟謙) 등이 그가 영창대군을 옹호하였다 하여 처벌할 것을 상소하였는데, 이로 인해서 인목대비의 폐모론이 나오게 되었다.
1623년 인조반정 후 참봉·찰방 등에 임명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양명학에 조예가 깊은 장유(張維)·임담(林?) 등과 친밀히 교유하였다.
저서에 《초당한람 草堂閑覽》이 있다.
[참고문헌]
光海君日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