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서공(휘 璇) 행장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성봉 작성일09-03-24 11:53 조회1,958회 댓글2건관련링크
본문
시서공행장은 족보 내용과 다르다.
보학연구자의 참고자료이다.
市西金公行狀
公諱璇。字而獻。自號市西居士。又號之西子。光山之金。肇自新羅國姓。有王子興光。知國將亂。始遯于光。實金氏之鼻祖也。子孫爲高麗巨族。相繼爲平章事垂八代。世稱所居里平章洞。本朝有德龍。官至大司憲。移居于羅州。遂爲羅州人。歷五世至軾生員。於公爲高祖也。曾祖諱廷?。生員。祖諱深。考諱富成。上護軍。?驪興閔氏。舍人德鳳之女。生公于隆慶戊辰九月二十日。天資弘偉。在?齡。已儼然如成人。九歲。丁母夫人憂。執喪如儀。至服?。始食肉。鄕里莫不稱服。自知讀書。與林判書?同遊學。乙酉。公年十八。娶敬寧大君四世孫。郡守用沈之女。實我太宗大王某代孫也。公事親至誠。時護軍公年已嚮暮。公以爲非科業。無以盡悅親之道。於是玩心經業。夙夜匪懈。丁亥。魁鄕解。與姜睡隱沆,洪盤桓千璟諸人相上下。嘗與?友。肄業於景賢院。時當盛暑。一座皆披襟偃息。忽有巨?。墜自樑棟間。橫於公腰腹之上。衆皆駭散。而公色不變。看書如故。?退乃起。人服其弘量焉。丁酉倭變。公上奉下?。奔避於海西之長淵地。雖當流離顚沛之際。奉養之節。靡不竭力。晝夜謀度。不至窘乏。同時避亂者。無慮百數。而得食必分。無間物我。賴以全活者多。乙巳春。始登司馬。自弱冠。連捷大小解額。殆無虛歲。而至是三十八而始中。知公者惜其?也。是年秋。五賢從祀之論起。一道章甫推公爲疏頭。疏卽公之所自製也。辭正理順。雖不蒙允。識者?之。戊申。宣廟昇遐。光海嗣位。賊臣爾瞻等用事。州人金佑成者。卽公堂叔也。?附爾瞻。氣勢?張。一時士類之持正論者。必中傷而後已。公以至親之間。不忍恝視。規以義理。欲挫其銳。而不惟不聽。反有以銜之。公嘗冠別試。選到京。佑成嗾人停擧。公卽浩然還鄕。及後兇黨益肆。幽廢母后。完平李公元翼。獨發扶倫之論。大見?於時輩。禍將不測。湖中多士。相與倡率。將欲伸救李相。竟阻不達。兇黨謂其事由公倡之。旣削迹泮宮。四館停擧。而尹惟謙,李廷?等。又連疏。請治公準以鄭澤雷等護逆之律。而大臣收議。以疏不達政院。不得科罪。僅以獲免。公旣與佑成爲仇。及佑成之喪其母也。公以親戚之誼。往赴其喪次。則佑成拒而不納。公不得已於門外。設席獨坐。逐日如此。至成服乃已。不以其子之惡。而幷廢亡者之親懿。其折衷恩義。不失其正如此。人皆稱美之。公憤切時事。遂絶意於名利上。杜門屛迹。?數間精舍於城西竹林中。扁以五樂亭。蓋兄弟也。妻子也。詩酒也。安貧也。樂道也。是五者。爲公?年所樂云爾。作序若詩。道五樂之意。而揭諸楣間。守分無求。卽其志也。丙辰。遭護軍公喪。喪制一從朱文公家禮。服除。無意於世事。惟以深居讀書自娛。自五經旁及子史。而手不停披。口不絶吟。以至於莊老等書。亦頗汎濫。去其非道。而取其近理。誦讀之暇。又?詩不輟。凡物之可愛可惡。可以爲法。可以爲戒者。無不發之於咨嗟詠嘆之間。其與世之徒事??者。趣尙自不?矣。逮癸亥改玉。大倫復正。群兇伏法。朝著淸明。京鄕諸友。惜其虛老林泉。勸以赴擧。而公永堅素志。確不可拔。以詩自誓曰。爭似打頭茅屋下。對妻携子願年?。又曰。莫怪翟門懸一?。不如遺世老漁樵。聞有山水奇勝處。則悠然興發。衣鶴?頂竹冠。必就訪焉。或扶藜杖。或騎靑牛。或超然獨往。或與幽人韻士。相先後。遇一佳境。則命酒賦詩。不知日之將暮也。同時?友如張谿谷維,林石村?,林觀海檜及鄙族祖畸翁諸賢。皆傾倒。定爲莫逆交。不以布衣小之。丙寅。公年五十九。??師。寫其貌。自製序若贊。書于?之左方。托其仲子進士公。以寶藏之。蓋進士公家于朗州。與錦城本家旣遠。則欲於此。寓其如見之孝也。自反正以後。以公連擬別坐,參奉,禁府都事之望。至崇禎戊辰。除裕陵參奉。己巳。除自如察訪。辛亥。又除靖陵參奉。皆不赴。谿谷,畸翁兩公。每爲之勸勉。以累徵。不起。於義未安。公輒以虛譽過隆。上以欺天。下以欺人等語謝之。乙亥七月。政院以禮曹京外才行褒賞之意入啓。而置公於復戶之列。傳曰。此人置之復戶似未妥。當命該曹。行關本道。優賜米,木,魚。蓋異數也。丙子秋。自上有搜訪遺逸之命。州人擧公以薦曰。前察訪金某。持身方正。氣節敦確。除職不應。終始守靜云。吳公竣時爲本州牧。轉聞方伯曰。聞此一州大小公論。則金某潛心學術。守靜自修。道內之人。無不藉藉。誠合啓聞云。會北警猝急。大駕出城。事遂寢。常屛居五樂亭中。謝絶人事。沖淡無營。惟敎訓子弟。點竄書籍。蒔養花果而已。又嘗搜輯古今人出處奇迹。?成數冊。目以草堂閑覽。以寓尙友之志焉。以壬午二月十六日。考終于五樂亭。享年七十有五。將易?。精神不亂。語不及家事。索紙筆。書遺二子曰。噫。汝等毋失臨死之至戒。兄弟和睦。?妹愛恤。家不損仁。鄕不失義。臨機應節。一任良智。人而無信。古人謂何。父母膝下。弟姪相待。老妻侍側。日望我歸。歸去九原。樂不可極。八十將迫。死無毫憾。言非止此。奈迫奄奄。已矣乎。汝等百歲之後。重承父母之歡?。書卒而盡。以是年四月某甲。葬于錦城之西麓龍頭洞亥向之原。孺人某氏。有純性至行。先公六年而沒。與公合葬。畸翁嘗誌其墓。生二男二女。男長時?。進士。蔭補德山縣監。次時?。進士。女長適士人朴晉彬。次適進士李益?。縣監前娶洪氏。後娶吳氏。女長適李明?。洪氏出。次適曹挺邦。次羅遠器。男翔。皆吳氏出。進士前娶玄氏。後娶徐氏。四男。長習。生員。玄氏出。次翎。學生早沒。次?。進士。次?。通德郞。二女長適李南明。次崔尙夏。皆徐氏出。朴晉彬子曰壽曾,是曾。李益?子曰相夏,相殷,相周,相漢。翔五男。一重,一運,一震,一彩,一行。習男。一麟。女洪叔衍,安慶胄,洪潤漢。一麟男。?。翎二男。一龍,一夔。女愼慶億,任乃堂。一龍男。?。一夔男。俔,佃。?二男。一麒,一鵬。一麒男脩,?。一鵬男侃。?三男。一鳳,一駿,一熊。女愼惟憲,尹周大。李南明子曰治。生員。崔尙夏子曰宗興,?興。內外曾玄。摠百餘人。公有篤孝至行。九歲失慈。以不及致養爲至痛。一妹一弟。俱在幼稚。傳服而衣。同案而食。以至長成而不衰焉。平生不事?業。而奉親一節。必盡誠孝。祭享之物。不委婢僕。而致精潔。其喪弟也。如割半身。至痛在心。撫其孤侄。一如己出。恤其飢寒。終始不怠。蓋其孝友。天性然也。稟質簡重。喜方惡圓。敎子弟不煩程督。而隨事善導。必納之義範。待宗族。必雍睦。交朋友。以信義。雅不喜紛華。靜坐看書之外。無他嗜好。門庭之內。不設博奕玩好之具。?飯菜羹。隨分而安。富貴不足以動其心。亦可見好學之驗也。公所著詩文甚多。而未免散逸。錄在集中者若干卷。藏于家。今其曾孫一麟等錄其平日事行。請撰行狀。撮其要。謹狀如右。
출전: 丈巖先生集卷之二十一
* 행장(行狀)을 지은 분
정호 (1648 ~ 1736)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연일, 자는 중순, 호는 장암(丈巖), 철의 현손으로
감찰 경연의 아들이다. 송시열의 문하로 매우 총망 받았으며, 1675영(숙종 1) 송시열이 귀양가게 되자 과거를 단념하고 성리학에 힘썼다.
그 뒤 여러 형제의 권유로 1682년 생원이 되고, 1684년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검열을 거쳐 정언이 되자, 오도일이 붕당을 키우고 권세를 부린다고 탄핵하였다. 1689년 기사환국으로 인형왕후가 폐출되고 송시열이 사사당하자, 그는 파직되고 문외출송 당하였다가 경성에 유배되었다.
1694년 갑술옥사로 인현왕후가 복위되자 풀려나 지평ㆍ수찬ㆍ교리 등을 역임하고, 1696년 이사상을 논핵하는 등 과격한 발언으로 파직되었다. 1698년 다시 수찬ㆍ집의ㆍ사간을 거쳐 이듬해 동래부사로 나갔다가, 1700년에 신은 12만여냥을 왜에 상매한 관계로 파직되었다.
이듬해 광주부윤으로 기용되었고, 1702년 승지ㆍ부제학을 거쳐 1704년 함경도관찰사에 이어
1710년 대사간ㆍ대사헌을 지냈는데, 당론을 일삼는다하여 홍해ㆍ갑산 등지에 유배되었다.
1713년 대사성에 재임용되어 송시열의 묘정배향을 건의하였고, 1715년 부제학으로서 유계의 유저인「가례원류」의 발문을 썼다. 그 내용에 소론인 윤증이 송시열을 배반하였다는 내용이 문제되어 파직되었고, 이듬해 노론이 승리함으로써 대사헌이 되었는데, 이때 윤선거의 문집「노서유고」가 간행되자, 효종에게 불손한 내용으로 썼다하여 없애고 윤선거 부자의 관작도 박탈하게 하였다.
1717년 세자(뒤의 경종)의 대리청정에서 소론의 반대를 물리치고 이를 시행하도록 하였고, 예조판서를 거쳐 다음해 이조판서에 올랐다. 1721(경조 1) 실록청총재관으로「숙종실록」의 편찬에 참여하다가 신임사화로 노론 4대신의 신원을 누차 상소하였으며, 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이 되었다.
1727년 정미환국으로 관직에서 물러났다. 1729년 기로소에 들어갔으며, 영중추부사로 죽었다.
일생을 노론의 선봉으로 활약하였으며 늘 가난하게 지냈다.
시문과 글씨에 모두 솜씨가 있었다. 충주의 누암서원(충주시 가금면 창동)에 제향되었다.
저서로「장암집」26권이 전하여지고, 편서로「문의통고」 가 있다. 시호는 문경이다.
보학연구자의 참고자료이다.
市西金公行狀
公諱璇。字而獻。自號市西居士。又號之西子。光山之金。肇自新羅國姓。有王子興光。知國將亂。始遯于光。實金氏之鼻祖也。子孫爲高麗巨族。相繼爲平章事垂八代。世稱所居里平章洞。本朝有德龍。官至大司憲。移居于羅州。遂爲羅州人。歷五世至軾生員。於公爲高祖也。曾祖諱廷?。生員。祖諱深。考諱富成。上護軍。?驪興閔氏。舍人德鳳之女。生公于隆慶戊辰九月二十日。天資弘偉。在?齡。已儼然如成人。九歲。丁母夫人憂。執喪如儀。至服?。始食肉。鄕里莫不稱服。自知讀書。與林判書?同遊學。乙酉。公年十八。娶敬寧大君四世孫。郡守用沈之女。實我太宗大王某代孫也。公事親至誠。時護軍公年已嚮暮。公以爲非科業。無以盡悅親之道。於是玩心經業。夙夜匪懈。丁亥。魁鄕解。與姜睡隱沆,洪盤桓千璟諸人相上下。嘗與?友。肄業於景賢院。時當盛暑。一座皆披襟偃息。忽有巨?。墜自樑棟間。橫於公腰腹之上。衆皆駭散。而公色不變。看書如故。?退乃起。人服其弘量焉。丁酉倭變。公上奉下?。奔避於海西之長淵地。雖當流離顚沛之際。奉養之節。靡不竭力。晝夜謀度。不至窘乏。同時避亂者。無慮百數。而得食必分。無間物我。賴以全活者多。乙巳春。始登司馬。自弱冠。連捷大小解額。殆無虛歲。而至是三十八而始中。知公者惜其?也。是年秋。五賢從祀之論起。一道章甫推公爲疏頭。疏卽公之所自製也。辭正理順。雖不蒙允。識者?之。戊申。宣廟昇遐。光海嗣位。賊臣爾瞻等用事。州人金佑成者。卽公堂叔也。?附爾瞻。氣勢?張。一時士類之持正論者。必中傷而後已。公以至親之間。不忍恝視。規以義理。欲挫其銳。而不惟不聽。反有以銜之。公嘗冠別試。選到京。佑成嗾人停擧。公卽浩然還鄕。及後兇黨益肆。幽廢母后。完平李公元翼。獨發扶倫之論。大見?於時輩。禍將不測。湖中多士。相與倡率。將欲伸救李相。竟阻不達。兇黨謂其事由公倡之。旣削迹泮宮。四館停擧。而尹惟謙,李廷?等。又連疏。請治公準以鄭澤雷等護逆之律。而大臣收議。以疏不達政院。不得科罪。僅以獲免。公旣與佑成爲仇。及佑成之喪其母也。公以親戚之誼。往赴其喪次。則佑成拒而不納。公不得已於門外。設席獨坐。逐日如此。至成服乃已。不以其子之惡。而幷廢亡者之親懿。其折衷恩義。不失其正如此。人皆稱美之。公憤切時事。遂絶意於名利上。杜門屛迹。?數間精舍於城西竹林中。扁以五樂亭。蓋兄弟也。妻子也。詩酒也。安貧也。樂道也。是五者。爲公?年所樂云爾。作序若詩。道五樂之意。而揭諸楣間。守分無求。卽其志也。丙辰。遭護軍公喪。喪制一從朱文公家禮。服除。無意於世事。惟以深居讀書自娛。自五經旁及子史。而手不停披。口不絶吟。以至於莊老等書。亦頗汎濫。去其非道。而取其近理。誦讀之暇。又?詩不輟。凡物之可愛可惡。可以爲法。可以爲戒者。無不發之於咨嗟詠嘆之間。其與世之徒事??者。趣尙自不?矣。逮癸亥改玉。大倫復正。群兇伏法。朝著淸明。京鄕諸友。惜其虛老林泉。勸以赴擧。而公永堅素志。確不可拔。以詩自誓曰。爭似打頭茅屋下。對妻携子願年?。又曰。莫怪翟門懸一?。不如遺世老漁樵。聞有山水奇勝處。則悠然興發。衣鶴?頂竹冠。必就訪焉。或扶藜杖。或騎靑牛。或超然獨往。或與幽人韻士。相先後。遇一佳境。則命酒賦詩。不知日之將暮也。同時?友如張谿谷維,林石村?,林觀海檜及鄙族祖畸翁諸賢。皆傾倒。定爲莫逆交。不以布衣小之。丙寅。公年五十九。??師。寫其貌。自製序若贊。書于?之左方。托其仲子進士公。以寶藏之。蓋進士公家于朗州。與錦城本家旣遠。則欲於此。寓其如見之孝也。自反正以後。以公連擬別坐,參奉,禁府都事之望。至崇禎戊辰。除裕陵參奉。己巳。除自如察訪。辛亥。又除靖陵參奉。皆不赴。谿谷,畸翁兩公。每爲之勸勉。以累徵。不起。於義未安。公輒以虛譽過隆。上以欺天。下以欺人等語謝之。乙亥七月。政院以禮曹京外才行褒賞之意入啓。而置公於復戶之列。傳曰。此人置之復戶似未妥。當命該曹。行關本道。優賜米,木,魚。蓋異數也。丙子秋。自上有搜訪遺逸之命。州人擧公以薦曰。前察訪金某。持身方正。氣節敦確。除職不應。終始守靜云。吳公竣時爲本州牧。轉聞方伯曰。聞此一州大小公論。則金某潛心學術。守靜自修。道內之人。無不藉藉。誠合啓聞云。會北警猝急。大駕出城。事遂寢。常屛居五樂亭中。謝絶人事。沖淡無營。惟敎訓子弟。點竄書籍。蒔養花果而已。又嘗搜輯古今人出處奇迹。?成數冊。目以草堂閑覽。以寓尙友之志焉。以壬午二月十六日。考終于五樂亭。享年七十有五。將易?。精神不亂。語不及家事。索紙筆。書遺二子曰。噫。汝等毋失臨死之至戒。兄弟和睦。?妹愛恤。家不損仁。鄕不失義。臨機應節。一任良智。人而無信。古人謂何。父母膝下。弟姪相待。老妻侍側。日望我歸。歸去九原。樂不可極。八十將迫。死無毫憾。言非止此。奈迫奄奄。已矣乎。汝等百歲之後。重承父母之歡?。書卒而盡。以是年四月某甲。葬于錦城之西麓龍頭洞亥向之原。孺人某氏。有純性至行。先公六年而沒。與公合葬。畸翁嘗誌其墓。生二男二女。男長時?。進士。蔭補德山縣監。次時?。進士。女長適士人朴晉彬。次適進士李益?。縣監前娶洪氏。後娶吳氏。女長適李明?。洪氏出。次適曹挺邦。次羅遠器。男翔。皆吳氏出。進士前娶玄氏。後娶徐氏。四男。長習。生員。玄氏出。次翎。學生早沒。次?。進士。次?。通德郞。二女長適李南明。次崔尙夏。皆徐氏出。朴晉彬子曰壽曾,是曾。李益?子曰相夏,相殷,相周,相漢。翔五男。一重,一運,一震,一彩,一行。習男。一麟。女洪叔衍,安慶胄,洪潤漢。一麟男。?。翎二男。一龍,一夔。女愼慶億,任乃堂。一龍男。?。一夔男。俔,佃。?二男。一麒,一鵬。一麒男脩,?。一鵬男侃。?三男。一鳳,一駿,一熊。女愼惟憲,尹周大。李南明子曰治。生員。崔尙夏子曰宗興,?興。內外曾玄。摠百餘人。公有篤孝至行。九歲失慈。以不及致養爲至痛。一妹一弟。俱在幼稚。傳服而衣。同案而食。以至長成而不衰焉。平生不事?業。而奉親一節。必盡誠孝。祭享之物。不委婢僕。而致精潔。其喪弟也。如割半身。至痛在心。撫其孤侄。一如己出。恤其飢寒。終始不怠。蓋其孝友。天性然也。稟質簡重。喜方惡圓。敎子弟不煩程督。而隨事善導。必納之義範。待宗族。必雍睦。交朋友。以信義。雅不喜紛華。靜坐看書之外。無他嗜好。門庭之內。不設博奕玩好之具。?飯菜羹。隨分而安。富貴不足以動其心。亦可見好學之驗也。公所著詩文甚多。而未免散逸。錄在集中者若干卷。藏于家。今其曾孫一麟等錄其平日事行。請撰行狀。撮其要。謹狀如右。
출전: 丈巖先生集卷之二十一
* 행장(行狀)을 지은 분
정호 (1648 ~ 1736)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연일, 자는 중순, 호는 장암(丈巖), 철의 현손으로
감찰 경연의 아들이다. 송시열의 문하로 매우 총망 받았으며, 1675영(숙종 1) 송시열이 귀양가게 되자 과거를 단념하고 성리학에 힘썼다.
그 뒤 여러 형제의 권유로 1682년 생원이 되고, 1684년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검열을 거쳐 정언이 되자, 오도일이 붕당을 키우고 권세를 부린다고 탄핵하였다. 1689년 기사환국으로 인형왕후가 폐출되고 송시열이 사사당하자, 그는 파직되고 문외출송 당하였다가 경성에 유배되었다.
1694년 갑술옥사로 인현왕후가 복위되자 풀려나 지평ㆍ수찬ㆍ교리 등을 역임하고, 1696년 이사상을 논핵하는 등 과격한 발언으로 파직되었다. 1698년 다시 수찬ㆍ집의ㆍ사간을 거쳐 이듬해 동래부사로 나갔다가, 1700년에 신은 12만여냥을 왜에 상매한 관계로 파직되었다.
이듬해 광주부윤으로 기용되었고, 1702년 승지ㆍ부제학을 거쳐 1704년 함경도관찰사에 이어
1710년 대사간ㆍ대사헌을 지냈는데, 당론을 일삼는다하여 홍해ㆍ갑산 등지에 유배되었다.
1713년 대사성에 재임용되어 송시열의 묘정배향을 건의하였고, 1715년 부제학으로서 유계의 유저인「가례원류」의 발문을 썼다. 그 내용에 소론인 윤증이 송시열을 배반하였다는 내용이 문제되어 파직되었고, 이듬해 노론이 승리함으로써 대사헌이 되었는데, 이때 윤선거의 문집「노서유고」가 간행되자, 효종에게 불손한 내용으로 썼다하여 없애고 윤선거 부자의 관작도 박탈하게 하였다.
1717년 세자(뒤의 경종)의 대리청정에서 소론의 반대를 물리치고 이를 시행하도록 하였고, 예조판서를 거쳐 다음해 이조판서에 올랐다. 1721(경조 1) 실록청총재관으로「숙종실록」의 편찬에 참여하다가 신임사화로 노론 4대신의 신원을 누차 상소하였으며, 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이 되었다.
1727년 정미환국으로 관직에서 물러났다. 1729년 기로소에 들어갔으며, 영중추부사로 죽었다.
일생을 노론의 선봉으로 활약하였으며 늘 가난하게 지냈다.
시문과 글씨에 모두 솜씨가 있었다. 충주의 누암서원(충주시 가금면 창동)에 제향되었다.
저서로「장암집」26권이 전하여지고, 편서로「문의통고」 가 있다. 시호는 문경이다.
댓글목록
정암님의 댓글
정암 작성일
성봉일가님 그간 무고하신지요... 먼 발치서 일가님의 열정을 보면서 부끄럽습니다. 땅끝 해남을 금년에도 못떠나고
5년을 채워야 할것 같습니다. 엊그제 지점장 승진 했습니다.
성봉님의 댓글
성봉 작성일
소식 반갑습니다.
지점장 승진을 축하합니다.
5년을 채우는 때가 언제인지요.
고생이 많겠습니다.
본인도 10 여년 기러기아빠 생활을 해봐서
정암의 처지를 이해합니다.
건강 잘 챙기도록 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