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백과사전 김양경 본관정정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성봉 작성일09-06-25 10:37 조회2,040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어제(6/24) 네이버백과사전측으로 부터 공숙공 휘 양경(良璥)본관을
尙州에서 光州로 정정했다는 메일을 받았습니다.
아래는 네어버측에서 보내온 메일내용입니다.
님께서 백과사전 김양경항목에 남기신 이의제기가
사전 집필진의 검토를 거쳐 백과사전 내용에 반영되었습니다.
이의제기 반영내용 보기 (1)
bukakin (2009-05-18 13:25:28)
金良璥 본관 수정요청.
네이버백과사전에 김양경의 본관을 상주김씨라 하였는바 이는 오류입니다.
공숙공 김양경의 본관은 光山(光州)김씨이므로 정정을 요청합니다.
국조방목 등에 김효민의 세 아들인
金良璥은 世宗 24년(1442) 親試에,
金良琬은 世祖 3년(1457) 親試에,
金良琠의 世祖 8년(1462) 秋場試에 각각 등제하였는바
본관이 모두 光州人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위 김양경의 부친 金孝敏과 세 아들은 "씨족원류","문헌비고", "조선씨족통보","전고대방" 등에 光山金氏로 등재되어 있습니다.
다만 성종실록 제 167권 (성종 15년 6월 21일 기)에 金良璥의 傳記가 있는데
'良璥字子寶 尙州人 正統壬戌登第 - - '라고 하였기 때문에
이를 근거로 "한국인명대사전"(1967년 신구문화사 간) 과
한국인명 자호사전(1988년 계명문화사 간) 등에
김양경의 본관을 尙州라 했던것으로 여깁니다.
살피건데 실록을 板刻할 때 刻字工이 光 자를 尙 자로 잘 못 세겼거나
왕조실록 전기에 기록한 鄕名이 本貫鄕, 世居鄕 ,出身地名을 함께 混用했던것으로
理解됩니다.
아래 자료를 참조하시어 訂正 해 주시길 요청합니다.
* 김양경(金良璥)
[문과] 세종(世宗) 24년 (1442) 임술(壬戌) 친시(親試) 병과(丙科) 4위
자 : 자보(子寶)
본관: 광주(光州)
이력사항]
전력 : 진사(進士)
품계 : 정헌대부(正憲大夫)
관직 : 형조판서(刑曹判書)
타과 : 세종(世宗) 23년(1441) 신유(辛酉) 진사시(進士試)
[가족사항]
[부]
성명 : 김효민(金孝敏)
[외조부]
성명 : 박중유(朴仲游)
[제]
김양완(金良琬)
* 김양완(金良琬)
[문과] 세조(世祖) 3년 (1457) 정축(丁丑) 친시(親試) 정과(丁科) 3위
본관: 광주(光州)
이력사항]
전력 : 지인(知印)
관직 : 군수(郡守)
[가족사항]
[부]
성명 : 김효민(金孝敏)
[외조부]
성명 : 박중유(朴仲游)
[처부]
성명 : 노효공(盧孝恭)
[형] 김양경(金良璥)
* 김양전(金良琠)
[문과] 세조(世祖) 8년 (1462) 임오(壬午) 식년시(式年試) 정과(丁科) 3위
자 : 대가(待價)
본관 : 광주(光州)
[이력사항]
전력 : 진사(進士)
관직 : 교감(校勘)
관직 : 한림(翰林)
[가족사항]
[부]
성명 : 김효민(金孝敏)
[외조부]
성명 : 박중유(朴仲游)
[형] 김양경(金良璥)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尙州에서 光州로 정정했다는 메일을 받았습니다.
아래는 네어버측에서 보내온 메일내용입니다.
님께서 백과사전 김양경항목에 남기신 이의제기가
사전 집필진의 검토를 거쳐 백과사전 내용에 반영되었습니다.
이의제기 반영내용 보기 (1)
bukakin (2009-05-18 13:25:28)
金良璥 본관 수정요청.
네이버백과사전에 김양경의 본관을 상주김씨라 하였는바 이는 오류입니다.
공숙공 김양경의 본관은 光山(光州)김씨이므로 정정을 요청합니다.
국조방목 등에 김효민의 세 아들인
金良璥은 世宗 24년(1442) 親試에,
金良琬은 世祖 3년(1457) 親試에,
金良琠의 世祖 8년(1462) 秋場試에 각각 등제하였는바
본관이 모두 光州人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위 김양경의 부친 金孝敏과 세 아들은 "씨족원류","문헌비고", "조선씨족통보","전고대방" 등에 光山金氏로 등재되어 있습니다.
다만 성종실록 제 167권 (성종 15년 6월 21일 기)에 金良璥의 傳記가 있는데
'良璥字子寶 尙州人 正統壬戌登第 - - '라고 하였기 때문에
이를 근거로 "한국인명대사전"(1967년 신구문화사 간) 과
한국인명 자호사전(1988년 계명문화사 간) 등에
김양경의 본관을 尙州라 했던것으로 여깁니다.
살피건데 실록을 板刻할 때 刻字工이 光 자를 尙 자로 잘 못 세겼거나
왕조실록 전기에 기록한 鄕名이 本貫鄕, 世居鄕 ,出身地名을 함께 混用했던것으로
理解됩니다.
아래 자료를 참조하시어 訂正 해 주시길 요청합니다.
* 김양경(金良璥)
[문과] 세종(世宗) 24년 (1442) 임술(壬戌) 친시(親試) 병과(丙科) 4위
자 : 자보(子寶)
본관: 광주(光州)
이력사항]
전력 : 진사(進士)
품계 : 정헌대부(正憲大夫)
관직 : 형조판서(刑曹判書)
타과 : 세종(世宗) 23년(1441) 신유(辛酉) 진사시(進士試)
[가족사항]
[부]
성명 : 김효민(金孝敏)
[외조부]
성명 : 박중유(朴仲游)
[제]
김양완(金良琬)
* 김양완(金良琬)
[문과] 세조(世祖) 3년 (1457) 정축(丁丑) 친시(親試) 정과(丁科) 3위
본관: 광주(光州)
이력사항]
전력 : 지인(知印)
관직 : 군수(郡守)
[가족사항]
[부]
성명 : 김효민(金孝敏)
[외조부]
성명 : 박중유(朴仲游)
[처부]
성명 : 노효공(盧孝恭)
[형] 김양경(金良璥)
* 김양전(金良琠)
[문과] 세조(世祖) 8년 (1462) 임오(壬午) 식년시(式年試) 정과(丁科) 3위
자 : 대가(待價)
본관 : 광주(光州)
[이력사항]
전력 : 진사(進士)
관직 : 교감(校勘)
관직 : 한림(翰林)
[가족사항]
[부]
성명 : 김효민(金孝敏)
[외조부]
성명 : 박중유(朴仲游)
[형] 김양경(金良璥)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