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동경대학에 있는 광김족보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성봉 작성일09-07-11 00:13 조회2,956회 댓글6건관련링크
본문
광김족보는 아래주소로 들어가면 화면으로 볼 수 있습니다.
http://www.ioc.u-tokyo.ac.jp/~koreandb/zokufuindex.htm
댓글목록
정암님의 댓글
정암 작성일
성봉일가님께 질문드립니다.
동경대 DB를 보면서 일본의 기록문화에 배울점이 많은 것 같습니다.
광주(光州)김씨 족보가 눈에 들어와 보니
낭장공파 諱 漢老 후손으로 諱 ?를 시조로 한 족보인데 발간연대가 궁금합니다.
족보첫장을 보니 대종회 분파도와 일부 다른 점이 있고요.
서문에 언급된 沙村公이 일반적으로 알려진 충장공의 할아버지(휘 윤제)와 동일 인물인가요?
족보상에는 允精만 보입니다.
? - 有章 - 自? - 達孫 - 瑚 - 允精
(女 全義碩)
(女 曺國卿)
- ? - 允中
允和
* 諱 瑚의 면주에는 進士 司藝 ?光訓導라고 된 것으로 보아 지난번 일가님께서
올려주신 분과 동일 인물인가요?
성봉님의 댓글
성봉 작성일
沙村公
송사(松沙 )기우만 [奇宇萬, 1846.8.17~1916.10.28]이 1898년(戊戌年)에
서문을 쓴 족첩에서 언급한 사촌공은 1531년(중종 26년 辛卯)式年試에
급제한 김윤제(金允悌 1501~1572)를 지칭합니다.
김윤제는 나주목사를 등을 지냈습니다.
“보주 조선문과방목”에 의하면
김윤제(金允悌)
【 부 】김후(金珝)
【 조 】김문손(金文孫)
【 증 】김자침(金自沈)
【외조】김○○(金○○) (礪山)
【처부】조수(曺璲) (昌寧)
【직력】나주목사(羅州牧使) 무자진(戊子進)
【본관】광산(光山)
【거주】광주(光州) (墓在 光州)
【 호 】사촌(沙村)
【가과】감 의 질(姪)
* 보주 조선문과방목 김윤제 항목에서 처부 조수(曺璲) (昌寧人) 를 클릭하면
☞ 《문원(文苑)》 11권 p.6949 사촌묘갈명(沙村墓碣銘). 이라 하여
사촌공의 묘갈명에 처부 이름이 있다 하였습니다.
*참고자료.
사촌공 숙부 김감 문과방목 기록
김감(金) (1504 燕山 10年 甲子式年 4/31)
【전자】 진사(進士)
【 자 】 옥여(玉汝)
【생년】 병신(丙申, 1476)
【 부 】 김문손(金文孫)
【 조 】 김자침(金自沈)
【 증 】 김유장(金有章)
【외조】 노맹준(盧孟俊) (光州)
【처부】 김세광(金世匡) (蔚山)
【직력】 찬성(贊成) 공의(工議)
【본관】 광산(光山)
【거주】 광주(廣州) (墓在 廣州)
【기타】 유정담(有政談
* 위 족첩은 서울 서초동소재 국립도서관에도 소장되어 있는데
자침- 문손- 후- 윤제 등으로 계통이 이어졌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 지난번 언급한 문과급제자 金瑚는 문숙공 후 화평부원군(휘 석견)파 이므로 동명이인 입니다.
광산김님의 댓글
광산김 작성일
블로그주소 http://blog.daum.net/yeolki3439/7893007
光山金氏 始祖 興光
광산김씨의 시조 興光공은 大輔公의 23세손이며 신라 제45대 神武王의 三子
그런데 「흥광」공의 6세손인 貞俊공과 8세손인 義元공을 1세로한 기록도있음.
△大輔公
▲알지(閼智)→子세한(勢漢)→子아도(阿道)→子수류(首留)→子욱보(郁甫)→子구도(仇道)
△내물(奈勿王) △지증왕(智證王)
→三子말구(末仇)→子내물(奈勿王)→二子복호(卜好)→子습보(習寶)→子지대로(智大路)
→三子진종(眞宗)→一子흠운(欽運)→子마차(摩次)→子법선(法宣)→子의관(義寬)→
△원성왕(元聖王)
→子위문(魏文)→子효양(孝讓)→子경신(敬信)→三子예영(禮英)→三子균정(均貞)→
△신무왕(神武王)
→一子우징(祐徵)→三子흥광(興光)→子식(軾)→一子길(吉)→子순(順)→子책(策)→
→ 子貞俊→子양착(良鑿)→一子의원(義元)
◇ 김흥광공 : 고려조 광산부원군(光山府院君) 現光州市西一洞居住 이 곳을 平章洞 이라고도 함.
◇ 김정준공 : 판어사(判御事)를 거쳐 平章事를 지내다.
◇ 김의원공 : 고려조 文臣 當時 이자겸(李資謙)의 친당(親黨) 소속(所屬)된 행영병마판관(行營兵馬判官)
으로 있으면서 허재(許載)와 함께 숙종(肅宗)4년(1109己丑)에 吉州에서 女眞과 싸워 30명을 죽이고
兵器와 牛馬를 많이 포획(捕獲)한 뒤에 형부시랑(刑部侍郞)으로 승진 1113년(癸巳)에 禮部尙書 홍관
(洪觀)과 同行이되어 遼(요)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왔다.
仁宗4년(1126丙午)에 이자겸(李資謙)의 궁궐(宮闕)이 불타버리자 왕이 중흥택(重興宅)(李資謙의집)으
로 이어(移御)할 때 「義元」공이 집사자격으로 왕을 ○從한후 동지추밀원사(同知樞密院事)로 승진
되었으나 이자겸의 반란사실이 정로(錠露)됨과 동시에 지방으로 좌천되다.
(국립도서관제190호 제222호보 및 한국인명대사전 만성대동보 김씨대종사 한국씨족계보해설 경주김씨
대동보 참고)
※ 「흥광」공의 9세손이고 지문하성사(知門下省事)를 지낸 「光存」공을 一世로 하는 파도 있음.
※ 光山은 光州의 고호(古號)이므로 光州金氏는 地名變更에 起因한 것.
족보세수님의 댓글
족보세수 작성일
광김 어느파에서 위 낭장공파世譜 에 부를 1세로 기록한 것을 트집잡아
부 이하는 낭장공(휘 규)후손이 아니고 더욱이 광김이 아니라고 한다는데
위 세보 첫장 부 우측 상단에 漢老, 敬哉 , 承俊 이라 기록되어 있음을 외면한 주장이다.
위 漢老 世系는 정묘대보에 낭장공 후손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1900년도에 편집한 조선과환보에는 김규를 김대린의 장자라 하였다.
萬家譜에 광존(光存)을 1世로 기록하고 면주에 시적광주김씨(始籍光州金氏) 라고 했으며
광김 공주보(公州譜 1783) 1권 "계림김씨분파" 에
광산김씨, 고려태조공신 삼중대광 사공 吉 8世孫 신호위대장군 광세(光世) 시적언(始籍焉)이라 는 기록도 있으니
낭장공파의 위 광주김씨세보를 증빙자료라고 우기면서 부 부터는 낭장공후손이 아니라고 하며
대종중참여를 한사코 배제하려는 모파 모인의 종중분열 작태는 한심한 처사이다.
청랑님의 댓글
청랑 작성일18세기 이후 족보는 모화사상의 양향이 강하고 미화, 과장이 많은 것이 사실이라고 서울대 이수건 교수님 책에 써 있습니다. 그러나 17세기 중반 풍양조씨 조종운 가문에서 3대에 걸쳐 전국 540여 문중 족보를 정리하여 가지고 있던 '씨족원류'는 과장과 미화가 없고 조상 중국인 만들기도 안 보입니다. 아마도 실학의 영향이 아닌가 합니다만, 후대의 족보보다는 '씨족원류'가 많은 참고가 되리라 봅니다.
성봉님의 댓글
성봉 작성일
故 이수건 교수는 서울대 교수가 아니고 영남대 교수입니다.
氏族源流"는 1665년경에 趙從耘씨가 540 餘 姓에 관한 자료를 筆寫했는데
각 성씨의 족보, 가승 등을 포집하여 실었으므로 형제서차가 바르지 않은 내용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