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 구(諱 絿) 자암집(自菴集)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성봉 작성일09-12-27 15:48 조회2,009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自菴金先生文集
판심제 自菴集
간종 목판본
간행년 1659年刊
권책 目錄ㆍ本集 2권ㆍ紀年錄ㆍ附錄 합 1책
행자 10행 19자
규격 21×17.3(㎝)
어미 上下花紋魚尾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도서번호 奎4571
총간집수 한국문집총간 24
저자
성명 김구(金絿)
생년 1488년(성종 19)
몰년 1534년(중종 29)
자 大柔
호 自菴, 栗谷病?
본관 光州 (光山)
시호 文懿
계보
조 金性源 (司藝)- 부 金季文 (縣監)
모 全義李氏 (縣監 李兼仁 女)
형 金? (從仕郞)
金絿
배 金海金氏 (萬戶 金震賢 女)
자 金鎔
金鈞 (進士)
壻 李思航 (展力副尉)
* 기사전거 : 墓誌(外玄孫 安應昌 撰)
행력
성종 19. 1488 무신 弘治 1 1 9월 28일, 서울 燕熹坊에서 태어나다.
성종 24. 1493 계축 弘治 6 6 〈石榴〉 詩를 짓다.
연산군 1. 1495 을묘 弘治 8 8 〈烏鵲橋〉 詩를 짓다.
연산군 9. 1503 계해 弘治 16 16 〈長樂宮記〉로 漢城試에 장원하다.
중종 2. 1507 정묘 正德 2 20 9월, 司馬兩試에 장원하다. ○ 成均館 生員으로 昭陵 追復의 상소를 여러 번 올리다.
중종 8. 1513 계유 正德 8 26 3월, 文科 別試에 2등으로 합격하다. ○ 4월, 承文院副正字가 되다. ○ 7월, 홍문관 정자가 되다.
중종 9. 1514 갑술 正德 9 27 7월, 弘文館 著作이 되다. ○ 8월, 홍문관 박사가 되다.
중종 10. 1515 을해 正德 10 28 2월, 홍문관 부수찬이 되다. ○ 5월, 蘇世讓ㆍ鄭士龍ㆍ申光漢ㆍ朴世熹ㆍ黃孝獻ㆍ鄭?과 함께 賜暇讀書하다. ○ 11월, 이조좌랑이 되다.
중종 11. 1516 병자 正德 11 29 9월, 홍문관 부교리가 되다.
중종 12. 1517 정축 正德 12 30 2월, 降資되어 홍문관 수찬이 되다. ○ 7월, 다시 홍문관 부교리가 되다. ○ 10월, 특별히 加資되어 사간원 헌납이 되다.
중종 13. 1518 무인 正德 13 31 1월, 병으로 사직하였다가 공조ㆍ예조정랑이 되고 이어 홍문관 교리가 되다. ○ 5월, 이조정랑이 되다. ○ 9월, 弘文館應敎 兼春秋館編修官 藝文館應敎 承文院校勘이 되다. ○ 弘文館典翰을 거쳐 사간원 사간이 되다. ○ 11월, 掌樂院正 知製敎가 되고 成均館司成 承文院參校를 겸하다. 승정원에서 選啓한 「性理大全抄選」을 진강하다.
중종 14. 1519 기묘 正德 14 32 3월, 홍문관 직제학이 되다. ○ 賜暇讀書를 마치고 승정원 동부승지가 되다. ○ 6월, 홍문관 부제학이 되어 反正功臣의 削勳을 議啓하다. ○ 11월, 趙光祖ㆍ金淨ㆍ金湜 등과 함께 의금부에 拏捕, 推考당하다. 開寧에 유배되었다가 수개월 뒤에 加罪되어 南海의 絶島에 이배되다.
중종 17. 1522 임오 嘉靖 1 35 7월, 〈倭寇搜討錄〉을 짓다.
중종 20 1525 을유 嘉靖 4 38 〈李密陽宅?席觀優?作〉, 〈昆陽太守金守謙請書扇面醉中走筆〉 詩를 짓다.
중종 21. 1526 병술 嘉靖 5 39 1월, 부친상을 당하다.
중종 23 1528 무자 嘉靖 7 41 11월, 모친상을 당하다.
중종 26. 1531 신묘 嘉靖 10 44 臨陂縣으로 量移되다. 〈移配時在晉州失路作四首〉, 〈送別敎授朴緩〉 詩를 짓다.
중종 28. 1533 계사 嘉靖 12 46 4월, 사면되어 禮山 宗敬里에 돌아와 부모상에 追服하다.
중종 29. 1534 갑오 嘉靖 13 47 職牒이 환급되다. ○ 11월 16일, 禮山 四面 別莊에서 卒하다. 宗敬里 선영에 묻히다.
선조 24. 1591 신묘 萬曆 19 - 宗系辨誣時에 저자가 지은 表文을 인용했으므로, 그 공로로 光國原從功臣 1등에 錄勳되고 이조참판에 추증되다. 또 부친인 縣監 金季文을 좌승지에 추증하다.
인조 18. 1640 경진 崇禎 13 - 2월, 墓碑(金世濂 撰)를 세우다.
효종 10. 1659 기해 順治 16 - 외현손 安應昌이 문집을 간행하다.(鄭斗卿의 序)
현종 5. 1664 갑진 康熙 3 - 전라도 臨陂縣의 鳳巖書院에 향사되다.(숙종 21년에 賜額)
숙종 31. 1705 을유 康熙 44 - 禮山의 德岑書院에 향사되다.(숙종 40년에 賜額)
영조 22. 1746 병인 乾隆 11 - ‘文懿’(道德博聞曰文 溫柔性善曰懿)의 시호를 받고 이조판서에 贈職되다.
* 기사전거 : 紀年錄 및 中宗實錄에 의함
편찬 및 간행
저자의 시문은 兵亂으로 많이 유실되었고, 외증손인 順陽君 安夢尹이 남아 있는 詩文을 모아 家藏하였다. 이것을 1659년(효종 10)에 安夢尹의 아들 安應昌이 聞韶(義城)縣令으로 부임하여 저자의 詩文과 年譜ㆍ墓碑銘 등의 附錄을 수록하고 鄭斗卿의 序文을 붙여 2권 1책의 목판본으로 간행하였다.《초간본》 이 초간본은 현재 규장각(奎4571)과 간송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한편 석인본 2권 1책이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데, 이것은 1959년에 益山에서 후손 金永益이 간행한 것으로 번역문과 金冕益의 序, 金俊榮ㆍ李康五의 譯者序가 첨부되어 있다. 序文에 본 문집은 1636년(인조 14)과 1659년(효종 10)에 간행된 목판본 2종이 있다고 하였는데, 전자의 板本은 분명치 않다.
文集 외에 「自菴詩帖」(自菴筆帖」ㆍ「自菴筆蹟」이라고도 함) 1책이 전한다. 이것은 저자의 筆蹟을 刻?한 것으로, 父母ㆍ君師ㆍ妻子ㆍ兄弟ㆍ朋友의 도리를 읊은 오언절구 8수가 실려 있다.[「朝鮮圖書解題」]
본서의 저본은 1659年刊 초간본으로 서울대학교 규장각장본이다.
구성과 내용
본 문집은 本集 2권ㆍ紀年錄ㆍ附錄 합 1책으로 되어 있다.
권수에는 1659년에 지은 鄭斗卿의 序와 문체별 편수를 기록한 目錄이 실려 있다.
권1은 시이다. 오언절구 17수, 칠언절구 34수, 오언사운 9수, 칠언사운 13수, 칠언단율 1수, 오언장편 2수 등을 각기 시체별로 묶고 대략 창작순으로 배열하였다.
권2는 文으로, 賦ㆍ表ㆍ頌ㆍ策問ㆍ祈雨祭文ㆍ獄中上疏ㆍ碣記ㆍ搜討錄ㆍ書牘 등이 수록되어 있다. 賦ㆍ表ㆍ頌에는 司馬試와 殿試에 합격한 작품이 실려 있다. 〈獄中上疏〉는 己卯年에 옥중에서 올린 글로서 金淨 혹은 金湜의 글이라고도 한다. 碣記는 1515년에 지은 글로 외조부 李兼仁의 묘갈문이다. 〈倭寇搜討錄〉은 여러 변장들이 南海沿邊의 왜구를 토벌한 일을 1522년에 기록한 글이다. 書牘은 安處順에게 보낸 4편과 閔懷賢에게 보낸 1편이 실려 있다. 이어 국한문 혼용의 歌曲이 수록되어 있는데, 경기체가인 〈花田別曲〉과 短歌 5수이다. 短歌 가운데 중종에게 지어 올린 2수는 창작 배경이 함께 기술되어 있다. 권 뒤에 年譜인 〈紀年錄〉이 실려 있다.
附錄에는 「己卯名賢錄」 流竄條의 저자 관련기사가 실려 있다. 그 밖에 〈題自菴詩帖〉은 1602년에 尹根壽가 趙石大가 소장하고 있던 저자의 手筆 詩帖을 보고 지은 글이다. 〈墓碑銘〉은 1640년에 종손인 金伯輝, 외증손 安夢尹 및 諸宗人이 墓碑를 세우면서 金世濂에게 銘을 부탁하여 지은 글이다. 〈墓誌〉는 1637년에 외현손 安應昌이 지은 글이다.
권미에는 외현손 안응창이 1659년에 지은 跋文이 실려 있다.
출처: 고전번역원
판심제 自菴集
간종 목판본
간행년 1659年刊
권책 目錄ㆍ本集 2권ㆍ紀年錄ㆍ附錄 합 1책
행자 10행 19자
규격 21×17.3(㎝)
어미 上下花紋魚尾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도서번호 奎4571
총간집수 한국문집총간 24
저자
성명 김구(金絿)
생년 1488년(성종 19)
몰년 1534년(중종 29)
자 大柔
호 自菴, 栗谷病?
본관 光州 (光山)
시호 文懿
계보
조 金性源 (司藝)- 부 金季文 (縣監)
모 全義李氏 (縣監 李兼仁 女)
형 金? (從仕郞)
金絿
배 金海金氏 (萬戶 金震賢 女)
자 金鎔
金鈞 (進士)
壻 李思航 (展力副尉)
* 기사전거 : 墓誌(外玄孫 安應昌 撰)
행력
성종 19. 1488 무신 弘治 1 1 9월 28일, 서울 燕熹坊에서 태어나다.
성종 24. 1493 계축 弘治 6 6 〈石榴〉 詩를 짓다.
연산군 1. 1495 을묘 弘治 8 8 〈烏鵲橋〉 詩를 짓다.
연산군 9. 1503 계해 弘治 16 16 〈長樂宮記〉로 漢城試에 장원하다.
중종 2. 1507 정묘 正德 2 20 9월, 司馬兩試에 장원하다. ○ 成均館 生員으로 昭陵 追復의 상소를 여러 번 올리다.
중종 8. 1513 계유 正德 8 26 3월, 文科 別試에 2등으로 합격하다. ○ 4월, 承文院副正字가 되다. ○ 7월, 홍문관 정자가 되다.
중종 9. 1514 갑술 正德 9 27 7월, 弘文館 著作이 되다. ○ 8월, 홍문관 박사가 되다.
중종 10. 1515 을해 正德 10 28 2월, 홍문관 부수찬이 되다. ○ 5월, 蘇世讓ㆍ鄭士龍ㆍ申光漢ㆍ朴世熹ㆍ黃孝獻ㆍ鄭?과 함께 賜暇讀書하다. ○ 11월, 이조좌랑이 되다.
중종 11. 1516 병자 正德 11 29 9월, 홍문관 부교리가 되다.
중종 12. 1517 정축 正德 12 30 2월, 降資되어 홍문관 수찬이 되다. ○ 7월, 다시 홍문관 부교리가 되다. ○ 10월, 특별히 加資되어 사간원 헌납이 되다.
중종 13. 1518 무인 正德 13 31 1월, 병으로 사직하였다가 공조ㆍ예조정랑이 되고 이어 홍문관 교리가 되다. ○ 5월, 이조정랑이 되다. ○ 9월, 弘文館應敎 兼春秋館編修官 藝文館應敎 承文院校勘이 되다. ○ 弘文館典翰을 거쳐 사간원 사간이 되다. ○ 11월, 掌樂院正 知製敎가 되고 成均館司成 承文院參校를 겸하다. 승정원에서 選啓한 「性理大全抄選」을 진강하다.
중종 14. 1519 기묘 正德 14 32 3월, 홍문관 직제학이 되다. ○ 賜暇讀書를 마치고 승정원 동부승지가 되다. ○ 6월, 홍문관 부제학이 되어 反正功臣의 削勳을 議啓하다. ○ 11월, 趙光祖ㆍ金淨ㆍ金湜 등과 함께 의금부에 拏捕, 推考당하다. 開寧에 유배되었다가 수개월 뒤에 加罪되어 南海의 絶島에 이배되다.
중종 17. 1522 임오 嘉靖 1 35 7월, 〈倭寇搜討錄〉을 짓다.
중종 20 1525 을유 嘉靖 4 38 〈李密陽宅?席觀優?作〉, 〈昆陽太守金守謙請書扇面醉中走筆〉 詩를 짓다.
중종 21. 1526 병술 嘉靖 5 39 1월, 부친상을 당하다.
중종 23 1528 무자 嘉靖 7 41 11월, 모친상을 당하다.
중종 26. 1531 신묘 嘉靖 10 44 臨陂縣으로 量移되다. 〈移配時在晉州失路作四首〉, 〈送別敎授朴緩〉 詩를 짓다.
중종 28. 1533 계사 嘉靖 12 46 4월, 사면되어 禮山 宗敬里에 돌아와 부모상에 追服하다.
중종 29. 1534 갑오 嘉靖 13 47 職牒이 환급되다. ○ 11월 16일, 禮山 四面 別莊에서 卒하다. 宗敬里 선영에 묻히다.
선조 24. 1591 신묘 萬曆 19 - 宗系辨誣時에 저자가 지은 表文을 인용했으므로, 그 공로로 光國原從功臣 1등에 錄勳되고 이조참판에 추증되다. 또 부친인 縣監 金季文을 좌승지에 추증하다.
인조 18. 1640 경진 崇禎 13 - 2월, 墓碑(金世濂 撰)를 세우다.
효종 10. 1659 기해 順治 16 - 외현손 安應昌이 문집을 간행하다.(鄭斗卿의 序)
현종 5. 1664 갑진 康熙 3 - 전라도 臨陂縣의 鳳巖書院에 향사되다.(숙종 21년에 賜額)
숙종 31. 1705 을유 康熙 44 - 禮山의 德岑書院에 향사되다.(숙종 40년에 賜額)
영조 22. 1746 병인 乾隆 11 - ‘文懿’(道德博聞曰文 溫柔性善曰懿)의 시호를 받고 이조판서에 贈職되다.
* 기사전거 : 紀年錄 및 中宗實錄에 의함
편찬 및 간행
저자의 시문은 兵亂으로 많이 유실되었고, 외증손인 順陽君 安夢尹이 남아 있는 詩文을 모아 家藏하였다. 이것을 1659년(효종 10)에 安夢尹의 아들 安應昌이 聞韶(義城)縣令으로 부임하여 저자의 詩文과 年譜ㆍ墓碑銘 등의 附錄을 수록하고 鄭斗卿의 序文을 붙여 2권 1책의 목판본으로 간행하였다.《초간본》 이 초간본은 현재 규장각(奎4571)과 간송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한편 석인본 2권 1책이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데, 이것은 1959년에 益山에서 후손 金永益이 간행한 것으로 번역문과 金冕益의 序, 金俊榮ㆍ李康五의 譯者序가 첨부되어 있다. 序文에 본 문집은 1636년(인조 14)과 1659년(효종 10)에 간행된 목판본 2종이 있다고 하였는데, 전자의 板本은 분명치 않다.
文集 외에 「自菴詩帖」(自菴筆帖」ㆍ「自菴筆蹟」이라고도 함) 1책이 전한다. 이것은 저자의 筆蹟을 刻?한 것으로, 父母ㆍ君師ㆍ妻子ㆍ兄弟ㆍ朋友의 도리를 읊은 오언절구 8수가 실려 있다.[「朝鮮圖書解題」]
본서의 저본은 1659年刊 초간본으로 서울대학교 규장각장본이다.
구성과 내용
본 문집은 本集 2권ㆍ紀年錄ㆍ附錄 합 1책으로 되어 있다.
권수에는 1659년에 지은 鄭斗卿의 序와 문체별 편수를 기록한 目錄이 실려 있다.
권1은 시이다. 오언절구 17수, 칠언절구 34수, 오언사운 9수, 칠언사운 13수, 칠언단율 1수, 오언장편 2수 등을 각기 시체별로 묶고 대략 창작순으로 배열하였다.
권2는 文으로, 賦ㆍ表ㆍ頌ㆍ策問ㆍ祈雨祭文ㆍ獄中上疏ㆍ碣記ㆍ搜討錄ㆍ書牘 등이 수록되어 있다. 賦ㆍ表ㆍ頌에는 司馬試와 殿試에 합격한 작품이 실려 있다. 〈獄中上疏〉는 己卯年에 옥중에서 올린 글로서 金淨 혹은 金湜의 글이라고도 한다. 碣記는 1515년에 지은 글로 외조부 李兼仁의 묘갈문이다. 〈倭寇搜討錄〉은 여러 변장들이 南海沿邊의 왜구를 토벌한 일을 1522년에 기록한 글이다. 書牘은 安處順에게 보낸 4편과 閔懷賢에게 보낸 1편이 실려 있다. 이어 국한문 혼용의 歌曲이 수록되어 있는데, 경기체가인 〈花田別曲〉과 短歌 5수이다. 短歌 가운데 중종에게 지어 올린 2수는 창작 배경이 함께 기술되어 있다. 권 뒤에 年譜인 〈紀年錄〉이 실려 있다.
附錄에는 「己卯名賢錄」 流竄條의 저자 관련기사가 실려 있다. 그 밖에 〈題自菴詩帖〉은 1602년에 尹根壽가 趙石大가 소장하고 있던 저자의 手筆 詩帖을 보고 지은 글이다. 〈墓碑銘〉은 1640년에 종손인 金伯輝, 외증손 安夢尹 및 諸宗人이 墓碑를 세우면서 金世濂에게 銘을 부탁하여 지은 글이다. 〈墓誌〉는 1637년에 외현손 安應昌이 지은 글이다.
권미에는 외현손 안응창이 1659년에 지은 跋文이 실려 있다.
출처: 고전번역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