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학자료

정경공(貞景公) 김사원(金士元)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광김 작성일10-07-26 01:43 조회1,986회 댓글0건

본문

김사원(金士元)(양간공파) (1257∼1319) 63歲. 고려 후기의 문신. 初名은 구(?), 또는 원구(元具). 아버지는 양간공(良簡公) 연(璉)이며, 어머니는 연주군부인(連珠郡夫人) 능성조씨(綾城曺氏)로 예부상서(禮部尙書) 저(著)의 딸이다.

1293년(충렬왕 20) 총랑(摠郞)으로 있을 때 언(彦)을 국문(鞠問)하라 했는데 예전부터 아는 관리(官吏)인지라 (彦)을 데려다가 화(禍)와 복(福)으로서 잘 타이르니 언(彦)이 실상을 토로 하므로 이에 대언(大彦)과 영(領)등을 베었다.

1308년(충렬왕 35)에 이혼(李混), 최균(崔勻), 승지 권준(權準)과 함께 번양왕(藩陽王)이 제정한 관제(官制)와 비판서(批判書)를 쌓아가지고 원나라로부터 서울에 돌아오니 권세(權勢)부리던 세신(世臣)과 구관(舊官)들이 다 물러갔다.

홀로 임금을 뵈올 수 있는 총애(寵愛)를 받았으며 1310년(충선왕 3)에 원나라에서 팔찰(八札)등을 보내어 황후책봉(皇后冊封)한 일을 반포했다.

처음 환관(宦官) 이대순(李大順)이 원나라에 들어가 총애를 받고 권세를 부리더니 구평궁(救平宮)으로 더불어 노비(奴婢)의 분쟁이 있자 황제가 제령(制令)을 내려 형부(刑部)에서 결정하라 하므로 그 때 전서(典書)로서 그 안건(案件)을 주장하여 구평궁(救平宮) 위씨(韋氏)에게 노비(奴婢)를 돌려주니 대순(大順)이 노(怒)하여 팔찰(八札)과 같이 황제의 명(命)이라 하여 귀양가게 되었다.

1311년(충성왕 4)에 평양윤(平壤尹)이 되었고 이어서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에 이르렀다. 1316년(충숙왕 4) 상의회의(商議會議) 도감사(都監事)를 거쳐 1318(충숙왕 6)에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로 있을 때 왕명으로 온천(溫泉)에서 잡은 새를 "선조에게 제사지내는 것은 보본(報本)하는 것이요 내가 몸소 새를 잡아 올리는데 유사(有司)가 그렇게 반대한단 말이냐 내가 깊은 궁중(宮中0에 있어 경(卿)이 아니면 어떻게 이러한 일을 알으랴"고 하였다.

시호는 정경공(貞景公)이며 묘(墓)는 실전되어 1986년 논산군 연산면 고정리에 설단 하였다.

配는 순정군부인(順政郡夫人) 순흥안씨(順興安氏) 父 문성공회헌유(文成公晦軒裕) 祖 판도판서(版圖判書) 부(孚), 曾祖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 영유(永儒), 外祖 우사간(右司諫) 漢南金祿延

공의 휘는 사원이니 초명은 구요 개명은 원구이다. 고려고종 정사(丁巳: 1257)에 출생하였다.

충렬왕20(1293년) 정월 계미일에 총랑 김원구를 보내어 언을 국문하라 했는데 원구는 예전부터 아는 관리인지라 원구는 가마니 언을 데려다가 화복으로써 타이르니 언이 사실을 토로하므로 이에 대언(大彦)과 영(領)을 베었다.

35년(1308년) 5월 병술일에 이혼, 최균, 김원구가 승지 권준과 함께 번양왕(藩陽王)이 제정한 관제와 비판서를 쌓아 가지고 원나라로부터 서울로 돌아오니 권세부리던 세신과 구관들이 모두 물러갔다.

10월 기축일에 김사원외에는 특별히 부르지 않으면 임금앞에 들어오지 못하게 했다.

충선왕3년 경술(1310)6월 무신에 원나라에서 팔찰(八札) 등을 보내어 황후책봉(皇后冊封)한 일을 반포했다.

환관 이대순이 원나라에 들어가 총행을 받고 용사하더니 구평궁으로 더불어 노비의 분쟁이 있자 황제가 제령을 내려 형부에서 결정하라 하므로 그때 전서 김사원등이 그 안건을 주장하여 구평궁 위씨에게 노비를 돌려주니 대순이 노하여 팔찰등과 같이 황제의 명령이라 사칭하고 사원등을 귀양보냈다.

4년 신해(1311) 4월 임술일에 김사원으로 평양윤을 삼았다.

12월 계사일에 김사원으로 지밀직사사를 삼았다.

충숙왕4년(1316) 4월 정해일에 김사원으로 상의회의 도감사를 삼았다.

6년 무오 정월계유일에 첨의찬성사 김사원을 명하여 온천에서 잡은 새를 잡아 태묘에 천(薦)할새 사선전의(司膳典儀)가 이르지 않고 규정(벼슬이름)이 뒤에 오거늘 사원이 아뢰니 왕이 이르기를 "제사는 먼저 보본할 바이니 경아니면 어떻게 알리고."라고 하였다.

7년 기미(1319) 정월 임술일에 첨의찬성사 김사원이 졸(卒)하다

[참고문헌 : 고려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보학자료 목록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