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년편고(紀年便攷)의 광산김씨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성봉 작성일11-04-02 22:10 조회1,942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기년편고(紀年便攷)
1335년(고려 충숙왕 후 4년)의 조선 태조 탄생부터 1897년(조선 고종 광무 원년)까지 각 연도별 중요 기사를 편년 순서에 따라 강목 형식으로 정리하였으며, 배향, 상신, 문형, 열전 등의 인물에 대한 약력을 기록하여 기전체적 형식을 갖춘 조선왕조사.
장서각본의 목록에 수록된 범례에 따르면 먼저 기사를 적고 다음 열전을 적으며, 조선 태조가 태어난 1335년(고려 충숙왕 을해)으로부터 1897년(고종 광무 원년)까지 기재한다고 적었다. 편찬자는 朴羲成으로 1913년에 쓴 서문이 목록 상에 들어 있다.
책의 마지막에는 1917년에 쓴 我夢居士의 지문이 있는데, 이에 따르면 1917년에 최종적으로 정서하여 완성하였으며 이 때 璿源先系를 다룬 편수를 새로이 추가하였다.
기사를 적을 때는 강목의 예에 따라 적었다. 범례에서는 열전의 수록원칙을 자세히 규정하고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인물에 대한 선악과 포폄은 인용한 서적을 따랐으며, 한 글자라도 자신의 생각을 함부로 덧붙이지 않았다. 문지나 관작의 고하를 막론하고 적으며, 惡逆誅廢者도 징계의 뜻을 보이기 위해 포함시켰다. 열전 기록시 인물의 성명은 ?연려기술?의 예에 따라 직서하였다. 종실은 명덕이 있는 자를 적되 가장 앞세웠다. 인물의 기재는 대신?장신에서 내관?산인에 이르기까지 행적이 뛰어난 사람은 모두 적었으며, 지은 죄가 무겁거나 비상한 죄로 유배당한 자들도 역시 적었다. 형제나 자손이 열전에 들어가는 경우에는 특별히 그 사항을 적었다. 편자는 향촌에서 있어서 서적을 널리 상고할 수 없었기 때문에 마땅히 들어가야 할 인물인데도 빠졌거나 반드시 적어야 하는 사항인데도 소략한 곳에 대해서는 수시로 기록을 덧붙여 책을 완성하려고 한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인용제서조에는 144종의 책명을 수록하고 있는데, 그 중 ?선원보략???각성보첩? 등의 족보류에서부터 ?여사제강???국조보감? 등의 사서류, ?국조인물고???국조인물지? 등의 인물지, 기묘록???아아록? 등의 잡편류, ?목은집???양촌집? 등의 문집류에 이르기까지 방대한 책을 참고하고 있다.
編首에는 璿源先系를 기술하였으며, 목록 2책에는 序文, 凡例, 引用諸書, 篇目, 姓彙의 순으로 기술하였다. 본문의 서술은 강목의 서술원칙에 따라 편년 순서대로 중요한 사실을 적었다. 왕이 죽은 다음에는 배향, 상신, 문형, 호당, 열전 등 인물관련 내용을 적었다.
본집 70권의 수록 내용은 다음과 같다. 권 1 : 高麗忠肅王, 高麗忠惠王, 高麗忠穆王. 권 2 : 高麗忠定王, 高麗恭愍王. 권 3 : 高麗辛禑辛昌, 高麗恭讓王. 권 4 : 高麗守節諸臣. 권 5 : 本朝太祖, 定宗. 권 6 : 太宗. 권 7~8 : 世宗. 권 9 : 文宗, 端宗. 권 10 : 世祖. 권 11 : 世祖, 睿宗. 권 12~13 : 成宗. 권 14 : 燕山君. 권 15~18 : 中宗. 권 19 : 仁宗, 明宗. 권 20~22 : 明宗. 권 23~31 : 宣祖. 권 32~33 : 光海君. 권 34~44 : 仁祖. 권 45~46 : 孝宗. 권 47~48 : 顯宗. 권 49~53 : 肅宗. 권 54~55 : 景宗. 권 56~59 : 英祖. 권 60 : 英祖, 莊祖. 권 61~63 : 正祖. 권 64 : 純祖. 권 65 : 純祖, 文祖. 권 66 : 憲宗. 권 67 : 哲宗. 권 68~70 : 大皇帝.
강목형식을 취하여 내용면에서 다른 사서에 비해 새로운 사실을 보여주는 점은 부족하지만 일 개인이 40여년의 공력을 바쳐서 조선왕조의 역사를 강목형식을 통해 정리하였다.
서술에서는 춘추편년의 집필 원칙에 따라 적고 있으며, 강목 범례의 정신에 입각하였다. 절필한 시기를 1897년으로 잡은 것은 미탈고가 아니라 왕조가 끝나면 후대 사가들이 기전체의 방식으로 이전 왕조사를 정리해야 한다는 전통적인 유교적 역사관의 당연한 귀결이었다.
참고
* 紀年便攷?: 장서각(청구기호 K2-37)
규장각( 청구기호 古 4250-7)
기년편고(紀年便攷)의 광산김씨(光山金氏)
金台鉉[주:忠肅列]
光載[주:光轍 恭愍列]
續命[주:辛禑列]
若時[주:麗?]
自進[주:麗?]
承吉[주:麗?]
若恒[주:處 虛太祖列]
禮蒙[주:世祖列]
國光[주:世祖列]
良璥[주:世宗列]
謙光[주:世祖列]
孟權[주:?國端?]
用石[주:成列]
克?[주:中列一]
克成[주:中相]
崇祖[주:燕列]
?[주:中列一]
神童[주:中列二]
絿[주:中湖]
明澈[주:中列二]
緣[주:中列二]
大器[주:明列二]
震羽[주:明列一]
逈[주:明列一]
彦?[주:明列一]
富弼[주:富儀 富仁 富信 富倫? 圻明列二]
質忠[주:明湖]
?[주:明列二]
繼輝[주:平孫 慶孫明湖]
?[주:宣列二]
行[주:宣列三]
憲[주:宣列三]
穎男[주:宣列三]
長生[주:?宣列三]
德齡[주:德弘 德普宣列三]
萬壽[주:千壽 光鋏宣列四]
垓[주:光繼宣列四]
鎧[주:宣列六]
止男[주:光列]
質幹[주:光列]
偉男[주:宇亨光列]
東?[주:仁祖列一]
集[주:仁祖列二]
友伋[주:仁祖列二]
自?[주:仁祖列七]
秀南[주:仁祖列二]
大德[주:仁祖列三]
?[주:仁祖列]
槃[주:仁祖列三]
搢[주:仁祖列王]
孝誠[주:世鼎 仁祖列四]
奏夏[주:仁祖列四]
聲[주:仁祖列五]
汝鈺[주:仁祖列五]
?[주:? 孝列]
益熙[주:孝列]
益兼[주:仁祖列六]
益?[주:孝列]
益勳[주:肅文]
益廉[주:肅列一]
益炅[주:顯列]
萬均[주:顯列]
萬基[주:顯配]
萬重[주:肅文]
瑜[주:肅列一]
鎭龜[주:肅?]
用兼[주:肅列二]
鎭圭[주:肅文]
鎭玉[주:肅列二]
春澤[주:德材 肅列二]
普澤[주:聖材肅列二]
一鏡[주:景列]
鐵根[주:景列]
雲澤[주:俊材偉材命材景列]
弘錫[주:景列]
民澤[주:善材景列]
龍澤[주:大材景列]
祖澤[주:厚材景列]
福澤[주:廷澤 延澤 樂材驥材景列]
鎭商[주:景列]
光澤[주:景列]
繼重[주:英列一]
陽澤[주:夏材英相]
相福[주:英相]
相肅[주:英列二]
相翊[주:箕性 英列二]
相岳[주:正列一]
憙[주:正相]
正默[주:正列二]
禹澤[주:正列二]
相日[주:正列二]
相休[주:純列]
箕殷[주:純列]
在昌[주:純列]
箕晩[주:哲列]
在顯[주:哲列]
在琫[주:哲列]
尙鉉[주:大皇文]
洛鉉[주:大皇列]
輔鉉[주:憲?]
箕錫[주:大皇?]
永壽[주:大皇文]
永哲[주:大皇?]
文鉉[주:大皇?]
永悳[주:大皇?]
弼洙[주:大皇?]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