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학자료

평장사 시조고비 신주 주제 고(始祖考妣 神主 題主 考) 2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성봉 작성일14-02-07 14:11 조회1,238회 댓글0건

본문

평장사 시조고비 신주 주제 고(始祖考妣 神主 題主 考) 2

시조공 내외분 신주의 주제를 <縣 皇 始祖考 新羅王子 府君 神主>,
<顯 皇 始祖妣 夫人 神主>라 고 했다는데 顯과 皇은 같은 뜻인데 중첩되었으니 잘 못이라고 한
577번 <시조공 神主 主題에 대하여> 글을 읽고 혹자들이 말하기를

[顯자는 고려 8대 顯宗(992~1031/ 재위 1010~1031) 때도 사용 했고, 神主(位版)에 皇자 대신 顯자를 쓴 시기는 淸나라 때 부터가 맞다]고 한다는데

* 한자가 만들어진 이후부터 顯자는 사용했을 것이므로 고려 8대왕 廟號 顯宗에 顯자가 있다고
해서 고려 현종때도 현자를 사용했다는 주장은 神主에 쓰던 皇자를 顯자로 대신 쓴 시기에
관한 논쟁과는 관계가 없으며,

* 신주(위판)에 황자대신 현자를 쓰게된 시기는 원나라 大德(成宗 年號) 5년 (1301년)부터가
확실하므로 문헌사료를 간추려 올린다.

淸나라는 1636년 부터~1912년까지 있던 나라요, 퇴계선생은 1501년에 출생, 1570년에
졸 했으며, 고봉 기대승은 1527년에 출생, 1572년에 졸 하였고, 이 두 분이 1567년 선조임금 앞에서 예론을 講하면서 /신주에 皇考·皇妣라고 쓸 때의 皇자는 크다[大]는 뜻으로 높이는 것이며 위로 천자로부터 아래로 서인에 이르기까지 통용되지 않음이 없는데, 元나라 때에 이르러 황자를 피하여 顯자로 통용하였습니다/ 했는데 이는 淸나라가 건국한 1636년 보다 69년(두 세대) 앞선 일이다.


神主(位版)에 皇자 대신 顯자를 쓰게된 時期에 관한 여러 문헌자료

○ 高麗史世家 卷第三十二 > 忠烈王 27年 /元 大德 5년(1301년) 5월 8일(陰)
내외의 관원을 병합하여 줄이고, 관직의 칭호가 上國(元나라)과 같은 것은 모두 고쳤다
- 倂省內外官, 其官名, 有同上國者, 悉改之 -

○朝鮮王朝實錄/宣祖 卽位年(1567)丁卯, (陰曆)11月 4日(乙卯)
李滉이《禮記》를 講하다
夕講《禮記》。李滉 進啓曰 皇考皇妣, 書于神主者, 以皇字爲大字意, 故尊之也。
上自天子, 下至庶人, 莫不通用。 至元時, 回避皇字, 以顯字通用。

○ 宣祖修正實錄/宣祖 卽位年(1567년) 10月 5日(陰歷)
奇大升(*1527∼1572)경연에 나가 講하다,
是日奇大升 弘文館典翰兼藝文館應敎。 上講《禮記》。
書于神主者, 以皇字有大字義, 故尊之也。 上自天子, 下至庶人, 莫不通用, 至元時, 嫌避皇字, 以顯字通用。

○ 高峯先生論思錄卷之上 11月 4日(陰)
皇考皇妣書于神主者。以皇字有大字意。故尊之也。上自天子。下至庶人。莫不通用。至元時回避皇字。以顯字通用。

○ 退溪先生文集卷之十八/ 書, 答 奇明彦(明彦:奇大升 字)
奉示謹悉。皇兄,皇叔,皇親,皇子等皇字。雖爲皇帝之皇字。若曲禮所云歷代人家所用皇字。則固是美大之義。故今宗廟亦得用之。如其皇帝之皇。宗廟亦豈得用耶。元朝雖有一時之令其許用顯字。今不得用於此稱。

○ 宋子大全卷九十八 / 書 答 宋穉擧 乙丑八月一日
顯字家禮所不言。只是胡元避皇字代之以此。不用爲可。

○ 宋子大全卷一百一 /書
答 鄭景由
家禮舊本稱皇考皇妣。別本則只稱考妣。胡元禁皇字而俾稱顯字。故家禮卷首圖稱以顯字矣。好禮之家嫌於胡元之制。

○ 宋子大全卷一百十四 / 書
答曹可運 (壬子七月二十四日)
神主書顯字。家禮無有。來示以爲有之。未知見於何條耶。家禮圖則有之。而圖非出於朱子者。家禮舊本用皇字。而胡元禁之。故改以顯字矣。某家不用云者信矣



○ 厚齋(*金幹)先生集卷之十四, 答問○禮疑○喪禮○題主
答申明允
竊聞華陽宋先生家。於題主不書顯字。且孝廟朝有勿書顯字之令。未知信否。
題主顯字。向來面稟于尤丈。答曰胡元之禮何可用也。吾家先世神主幷不書顯字云矣。孝廟朝禁令。今始聞之矣。

○ 老洲集卷之四 書
答玄甫
題主顯字。卽元人改皇爲顯也。聞一二尊周之家。嫌其用元制而不用云。未知此可倣行耶。
皇顯二字。俱出於古禮。而皆是美大之義也。故家禮舊文。稱皇考皇妣。朱子祭先祖。又稱顯祖。然則皇與顯。俱朱子之所取也。胡元之禁皇字不得用。只稱考妣者誠陋矣。至皇明。以顯字定制。著於會典。而我東遵之。若謂顯字乃胡元之創制而不用。恐是考之未詳也。

○ 修堂遺集冊九 雜著
讀星湖疑禮問解辨疑
主式舊用皇字。今用顯字。辨疑曰。/중략
按卷首圖註云舊本於祖考上。皆用皇字。*大德年間。省部禁止。今用顯可也。此沙溪所引用者。而星湖所考家禮。意者是今本而非舊本也。雖然大德是元成宗年號。

* 大德: 元 成宗의 두 번째 年號 大德(1297~1307) /첫번째 年號 元貞(1295~1296)

○ 儉齋集(*金楺)卷之十二/書
答李士根
題主之書顯字。不見於禮書。家禮圖所言。乃元*大德年間所增。故尤丈家不用云。

○ 南溪先生朴文純公(*朴世采)文外集卷第十 / 雜著
退溪文集記疑疑義 (癸亥六月十六日)
家禮用顯字。此見於家禮何條。家禮告事祝。只稱故。題主。故字亦不稱。至卷首圖說。元人禁皇字易以顯。

○ 南溪先生朴文純公文續集卷第十六/答問 講學論禮
答鄭眞卿問 家禮
神主式注曰禮經家禮舊本。於高祖考上皆加皇字。*大德年間省部禁用。回避皇字。今用顯可也云。

○ 星湖先生全集卷之十八 / 書
答尹幼章別紙 己亥
禮依伊川主式。本不用顯字。奚獨告事祝然哉。家禮圖云禮經及家禮舊本。於高祖考上皆用皇字。*大德年間省部禁止。回避皇字。今用顯家字可也。此用顯字之始也。


○ 星湖先生全集卷之二十一 / 書
答尹復春問目[上] 庚戌

按曲禮祭王父曰皇祖考。王母曰皇祖妣。父曰皇考。母曰皇妣。夫曰皇辟。士昏禮稱皇舅皇姑。饋食禮稱皇祖。然則皇字只是泛加尊稱之辭。중략/
圖所謂*大德年間回避皇字者。其不考於此耶。

○ 星湖先生全集卷之三十六 / 書
答秉休問目 戊辰
按神主式下云家禮舊本皆用皇字。*大德年間省部禁止。今用顯可也

○ 雲坪先生(宋能相)文集卷之九 / 雜著
題木主議 皇考皇妣
謹按家禮本文。考與祖皆稱皇考皇祖考。至元時。省部禁止皇字。

○ 近齋集卷之十五 書
答洪伯應
神主顯字。卽是元人所加。故尤翁不用顯字。只稱考妣。而備要圖加顯字何也。
禁皇字用顯字。雖是胡元之制。而顯考之稱。

○ 硏經齋全集續集册六 / 禮說
曲禮[下]
今据家禮神主式曰。禮經及家禮舊本。於高祖考上。皆用皇字。*大德年間。省部禁止。回避皇字。今用顯可也。大德。元成宗年號也。此圖及說。卽元時人之所亂。而未知誰爲之也。我東先賢多論顯字之不宜用。而今則無不用矣。

○ 華泉集卷之七 / 書
答金丈 樂源 別紙 己酉
而舊用皇字。至胡元*大德年間。省部禁止。代以顯字。
/ 성 봉.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보학자료 목록

Total 440건 2 페이지
보학자료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20 휘(諱) 자빈(子贇)의 관작(官爵) 성봉 05-21 2313
419 휘 발(潑) 무과급제 기록 성봉 05-06 1568
418 김우징은 청해진에 있을 때 신라왕이라 호칭 성봉 02-21 2401
417 충장공(휘 덕령)유사 성봉 11-05 1380
416 답변글 이준설 님의 견해는 바르지 않습니다. 성봉 11-04 1227
415 답변글 Re..근거 자료 제공 (위로 5세=고조=5세조=5대조=5대...즉 아래 이준설 11-03 2517
414 계당 김보균 송선비(桂堂金寶均 頌善碑) 성봉 09-22 1419
413 신라김씨 선원세계 06-27 1351
412 원정공(元靖公) 김희선 (金希善) 성봉 04-26 1435
411 조선조 주요 공신록(功臣錄) 일람 상식 성봉 04-26 1373
410 원나라 제16대황제 소종 황후는 광산김씨 성봉 04-14 3971
409 시조공을 신무왕 3자로 기록한 장성군사 댓글1 성봉 03-12 1578
열람중 평장사 시조고비 신주 주제 고(始祖考妣 神主 題主 考) 2 성봉 02-07 1239
407 시조공을 神武王子라 기록한 관찰사 金汝鈺 신도비 댓글2 성봉 01-27 1694
406 문숙공 증손 金元之 史料 댓글1 성봉 01-26 1377
405 광산김씨 봉작(光山金氏 封爵) 孤巖/準一 01-10 1644
404 시조공 신주 제주(題主)에 대하여 성봉 12-17 1805
403 廟宇, 祠宇 성봉 11-24 1326
402 朝鮮王朝實錄의 金文發(조선왕조실록의 김문발) 孤巖/準一 10-25 489
401 평장동과 왕자대 위치 그릇된 주장들 성봉 10-23 1817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