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나라 제16대황제 소종 황후는 광산김씨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성봉 작성일14-04-14 15:56 조회3,971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元나라 제16대황제 소종(昭宗) 황후(皇后)는 시중공(휘 流) 손녀.
- 판도판서공 휘 윤장 女 -
16대 황제 昭宗
본명: 보르지킨 아유르시리다르
(孛兒只斤 愛猷識里達臘)
/在世1338~1378/在位1370~1378)
생전(生前) 칸호(汗號): 아유르시리다르 칸(愛猷識里達臘 汗),
元 시호(諡號): 무승화효황제(武承和孝皇帝)
元 묘호(廟號): 소종(昭宗).
몽골시호(시호): 빌레그트 칸(必里克圖可 汗)
연호 : 선광(宣光)
* 보르지킨(孛兒只斤): 징기스칸 직계라는 뜻.
* 칸(汗) : 황제의 몽골식 칭호.
* 우리나라 사서에 만만태자(蠻蠻太子)로 기록하였는바 이는 명나라를 의식 오랑캐만(蠻)자를 중첩한 기록으로 元史, 新元史, 蒙古源流, 明史 등 중국 측 사서에는 만만태자(蠻蠻太子)라는 기록은 없다.
아버지는 元나라 혜종(惠宗) 선인보효황제(宣仁普孝皇帝)
/在世1320~1370/在位1333~1370)
본명 : 보르제킨 토곤테무르(孛兒只斤 妥懽帖睦爾)
생전 칸호: 토곤테무르 칸(妥懽帖睦爾 汗) 원 묘호: 혜종(惠宗) 원 시호: 선인보효황제(宣仁普孝皇帝)
몽골시호: 오하트 칸(烏哈噶圖 汗)
명 시호: 순제(順帝)
*大明皇帝以帝知順天命,退避而去,特加其號曰順帝 明史 本紀第四十七 順帝十
어머니는 고려인 기황후(奇皇后) 즉 보현숙성황후(普顯淑聖皇后)
몽골명: 올제이후투그(完者忽都)/1318~1370)
행주산성 아래 내성리(內城理)에서 기자오(奇子敖)의 3女로 출생.
○사료에 의하면 원나라 혜종황제의 아들 아유르시리다르(우리나라 사서에 만만태자로 기록)는 16세 때인 1353년 7월 태자로 책봉되고, 한 달 후인 1353년 8월에 고려에 와서 8월 6일 외조모(기황후 母 李氏)를 위한 큰 잔치를 베풀고 8월 23일 원나라로 돌아갈 때 김윤장의 딸을 태자비로 삼아 원나라로 함께 돌아 갔다고 하였다.
아유르시리다르(愛猷識里達臘)가 태자책봉 받기 전인 1352년 8월, 권겸(權謙)이 원나라 황실에 딸을 받쳤는데 1353년 7월 태자책봉 받은 한 달 후인 8월에 외조모를 위한 잔치를 베풀러 고려에 와서 휘 윤장의 딸을 황태자비로 간택했으니 이는 원나라 황실과 외척인 행주기씨 집안 및 고려정부가 휘 윤장의 딸을 태자비로 간택한 것으로 여긴다.
------
○김윤장은 광산김씨족보에 판도판서로 기록되었다.
이는 판도사 판서(版圖司 判書)의 줄인 말이며, 판서는 판도사의 으뜸벼슬이다.
고려(高麗)가 元나라의 간섭을 받게 되자 호부(戶部)를 고친 이름으로 25대 충렬왕(忠烈王) 1년(1275)에서 24년(1298) 正月까지, 충렬왕 24년(1298) 8월에서 34년(1308)까지, 27대 충숙왕(忠肅王)때부터 31대 공민왕(恭愍王) 5년(1356)까지, 공민왕(恭愍王) 11년(1362)에서 18년(1369)까지, 공민왕(恭愍王) 21년(1372)에서 34대 공양왕(恭讓王) 1년(1389)까지의 일컬은 관원이름이다. (* 뒤에 戶曹로 고침)
* 판도사는 호구(戶口)ㆍ공부(貢賦)ㆍ전량(錢粮)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이다.
김윤장의 관직은 씨족원류에 /(史)첨의참리(僉議參理/*評理 별칭), 판도판서(版圖判書), 공민왕원년(恭愍王元年) 찬성사(贊成事)/로 기록되었다.
○김윤장은 공경대부(公卿大夫) 가문의 고려말 유학자이다.
(父)김유金流: 도첨의중찬都僉議中贊(*문하시중 별칭), 太學士/
(祖)김주정金周鼎: 지도첨의사知都僉議事(*평장사 별칭)諡 文肅公/
(曾祖)김경량金鏡亮:대장군大將軍, 贈 門下平章事/
(高祖)김광세金光世: 중낭장中郞將, 贈 尙書 左僕射/
(伯父)김심金深:도첨의중찬(*시중 별칭),鎭國上將軍, 諡 忠肅公/
(兄)김중간金仲幹: 상호군上護軍, 同知密直司事/
(從兄)김석견金石堅:첨의우정승僉議右政丞, 化平府院君/
(從兄弟)김승사金承嗣:삼사좌사三司左使, 兵馬都元帥/
김승진金承漢:밀직부사 密直副使/
김승진金承晉:상호군上護軍, 光山君/
김승로金承魯:예조판서禮曹判書/
金달마:元 태정황후泰定皇后/
(堂叔)김태현金台鉉:첨의중찬僉議中贊, 大提學, 諡 文正公/
(再從兄弟)김광식金光軾:文科 摠部議郞/
김광철金光轍:文科 判密直司事, 化平君, 諡 文敏公/
김광재金光載:文科 大提學, 諡 文簡公/
김광로金光魯:文科 嘉安部錄事/
(再堂叔)김지숙金之淑:첨의중찬僉議中贊, 上護軍, 諡 光節公/
김유지金由祉:평장사平章事, 上將軍/
김도金瑫:중대광重大匡 密直副使, 光山君/
(三從兄弟)김인연金仁沇:찬성사贊成事, 光山君, 諡 敬烈公/
김인연金仁衍: 光山君/
명덕태후明德太后: 충혜왕忠惠王, 공민왕恭愍王 모후母后/
------
◎ 박의중朴宜中(1337~1403)의 정재선생일고(貞齋先生逸稿)3권 석유(摭遺) 화해사 전(華海師 傳)
화해사전(華海師全)역대전리가(歷代轉理歌)[여말유학자(麗末儒學者)] 편에
/김윤장金允藏: 공민왕(恭愍王)때 元나라 사신(使臣)을 위한 연회(宴會)에서 선왕(先王)의 행동(行動)이 예(禮)에 어긋난다고 간쟁(諫諍)하다 탄핵(彈劾)되었다./ 고 하였다.
------
○몽골제19대 황제 엘베그대칸은(額勒伯克大汗)은 김윤장의 외손.
초명(初名): 매적리팔라(買的里八刺)
생전 칸호: 恩克可 汗
칸호(汗號): 엘베그 니굴세그츠칸(額勒伯克·尼古坍蘇克齊汗)
* 鞑靼(蒙古大汗)
/在世1362年—1399年/ 在位1394年—1399年
*몽고사 전문가 宝音德力根교수는 원나라 소종때 어머니와 명나라에 포로가 되었다가 돌아온 매적리 팔라가 일베그 대칸(額勒伯克 大汗)이라 하였다.
몽고원류에 탈고사첩목아의 차자(明史 할단열전 기록)라고 했으나 탈고사첩목아의 장자 천보노(天保奴)는 1388년 아버지와 함께 피살되었고, 차자 지보노(地保奴)는 明나라에 의해 유구(琉球)로 유방(流放/유배)되어 탈고사첩목아의 후는 이미 끊어졌다는 기록이 1394년작 황금사(黄金史)에 기록되었다.
1362년에 출생한 额勒伯克 尼古坍蘇克齊可汗이 1350年에 출생한 脱古思帖木兒의 次子가 될 수 없으며 생갑과 이름의 뜻으로 미루어 보아 昭宗의 아들 매적리팔라가 額勒伯克大汗이라고 논증(論證)하였다.
------
参考資料
《中国名人志 第八卷》 > 额勒伯克汗
宝音德力根:《15世紀中葉前的北元可汗世系及政局》蒙古史研究 第六辑
註釋
1.蒙古文見殿本《蒙古源流》卷五和兩《黄金史》。漢語見《欽定蒙古源流》,是經由滿語轉譯譯而得。現代学者多稱其爲可汗。
2.《蒙古源流》作1393年,羅氏《黄金史》《黄金史綱》作1394年
------
○김윤장의 외손 매적리팔라(買的里八剌 1362年-1399)
1370년 조부 혜종(惠宗=順帝) 사후(음력)5월 응창(應昌)에서 어머니 김황후와 함께 명군(明軍)의 포로가 되어 북평(北平)으로 이치(移置). 숭례후(崇禮侯) 관작과 제택(第宅)을 사급받아 5년간 살다 1375년 9월 원나라로 귀환하여 1394년 엔크 조리그트칸의 뒤를 이어 황제의 자리에 올랐다.
------

- 판도판서공 휘 윤장 女 -
16대 황제 昭宗
본명: 보르지킨 아유르시리다르
(孛兒只斤 愛猷識里達臘)
/在世1338~1378/在位1370~1378)
생전(生前) 칸호(汗號): 아유르시리다르 칸(愛猷識里達臘 汗),
元 시호(諡號): 무승화효황제(武承和孝皇帝)
元 묘호(廟號): 소종(昭宗).
몽골시호(시호): 빌레그트 칸(必里克圖可 汗)
연호 : 선광(宣光)
* 보르지킨(孛兒只斤): 징기스칸 직계라는 뜻.
* 칸(汗) : 황제의 몽골식 칭호.
* 우리나라 사서에 만만태자(蠻蠻太子)로 기록하였는바 이는 명나라를 의식 오랑캐만(蠻)자를 중첩한 기록으로 元史, 新元史, 蒙古源流, 明史 등 중국 측 사서에는 만만태자(蠻蠻太子)라는 기록은 없다.
아버지는 元나라 혜종(惠宗) 선인보효황제(宣仁普孝皇帝)
/在世1320~1370/在位1333~1370)
본명 : 보르제킨 토곤테무르(孛兒只斤 妥懽帖睦爾)
생전 칸호: 토곤테무르 칸(妥懽帖睦爾 汗) 원 묘호: 혜종(惠宗) 원 시호: 선인보효황제(宣仁普孝皇帝)
몽골시호: 오하트 칸(烏哈噶圖 汗)
명 시호: 순제(順帝)
*大明皇帝以帝知順天命,退避而去,特加其號曰順帝 明史 本紀第四十七 順帝十
어머니는 고려인 기황후(奇皇后) 즉 보현숙성황후(普顯淑聖皇后)
몽골명: 올제이후투그(完者忽都)/1318~1370)
행주산성 아래 내성리(內城理)에서 기자오(奇子敖)의 3女로 출생.
○사료에 의하면 원나라 혜종황제의 아들 아유르시리다르(우리나라 사서에 만만태자로 기록)는 16세 때인 1353년 7월 태자로 책봉되고, 한 달 후인 1353년 8월에 고려에 와서 8월 6일 외조모(기황후 母 李氏)를 위한 큰 잔치를 베풀고 8월 23일 원나라로 돌아갈 때 김윤장의 딸을 태자비로 삼아 원나라로 함께 돌아 갔다고 하였다.
아유르시리다르(愛猷識里達臘)가 태자책봉 받기 전인 1352년 8월, 권겸(權謙)이 원나라 황실에 딸을 받쳤는데 1353년 7월 태자책봉 받은 한 달 후인 8월에 외조모를 위한 잔치를 베풀러 고려에 와서 휘 윤장의 딸을 황태자비로 간택했으니 이는 원나라 황실과 외척인 행주기씨 집안 및 고려정부가 휘 윤장의 딸을 태자비로 간택한 것으로 여긴다.
------
○김윤장은 광산김씨족보에 판도판서로 기록되었다.
이는 판도사 판서(版圖司 判書)의 줄인 말이며, 판서는 판도사의 으뜸벼슬이다.
고려(高麗)가 元나라의 간섭을 받게 되자 호부(戶部)를 고친 이름으로 25대 충렬왕(忠烈王) 1년(1275)에서 24년(1298) 正月까지, 충렬왕 24년(1298) 8월에서 34년(1308)까지, 27대 충숙왕(忠肅王)때부터 31대 공민왕(恭愍王) 5년(1356)까지, 공민왕(恭愍王) 11년(1362)에서 18년(1369)까지, 공민왕(恭愍王) 21년(1372)에서 34대 공양왕(恭讓王) 1년(1389)까지의 일컬은 관원이름이다. (* 뒤에 戶曹로 고침)
* 판도사는 호구(戶口)ㆍ공부(貢賦)ㆍ전량(錢粮)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이다.
김윤장의 관직은 씨족원류에 /(史)첨의참리(僉議參理/*評理 별칭), 판도판서(版圖判書), 공민왕원년(恭愍王元年) 찬성사(贊成事)/로 기록되었다.
○김윤장은 공경대부(公卿大夫) 가문의 고려말 유학자이다.
(父)김유金流: 도첨의중찬都僉議中贊(*문하시중 별칭), 太學士/
(祖)김주정金周鼎: 지도첨의사知都僉議事(*평장사 별칭)諡 文肅公/
(曾祖)김경량金鏡亮:대장군大將軍, 贈 門下平章事/
(高祖)김광세金光世: 중낭장中郞將, 贈 尙書 左僕射/
(伯父)김심金深:도첨의중찬(*시중 별칭),鎭國上將軍, 諡 忠肅公/
(兄)김중간金仲幹: 상호군上護軍, 同知密直司事/
(從兄)김석견金石堅:첨의우정승僉議右政丞, 化平府院君/
(從兄弟)김승사金承嗣:삼사좌사三司左使, 兵馬都元帥/
김승진金承漢:밀직부사 密直副使/
김승진金承晉:상호군上護軍, 光山君/
김승로金承魯:예조판서禮曹判書/
金달마:元 태정황후泰定皇后/
(堂叔)김태현金台鉉:첨의중찬僉議中贊, 大提學, 諡 文正公/
(再從兄弟)김광식金光軾:文科 摠部議郞/
김광철金光轍:文科 判密直司事, 化平君, 諡 文敏公/
김광재金光載:文科 大提學, 諡 文簡公/
김광로金光魯:文科 嘉安部錄事/
(再堂叔)김지숙金之淑:첨의중찬僉議中贊, 上護軍, 諡 光節公/
김유지金由祉:평장사平章事, 上將軍/
김도金瑫:중대광重大匡 密直副使, 光山君/
(三從兄弟)김인연金仁沇:찬성사贊成事, 光山君, 諡 敬烈公/
김인연金仁衍: 光山君/
명덕태후明德太后: 충혜왕忠惠王, 공민왕恭愍王 모후母后/
------
◎ 박의중朴宜中(1337~1403)의 정재선생일고(貞齋先生逸稿)3권 석유(摭遺) 화해사 전(華海師 傳)
화해사전(華海師全)역대전리가(歷代轉理歌)[여말유학자(麗末儒學者)] 편에
/김윤장金允藏: 공민왕(恭愍王)때 元나라 사신(使臣)을 위한 연회(宴會)에서 선왕(先王)의 행동(行動)이 예(禮)에 어긋난다고 간쟁(諫諍)하다 탄핵(彈劾)되었다./ 고 하였다.
------
○몽골제19대 황제 엘베그대칸은(額勒伯克大汗)은 김윤장의 외손.
초명(初名): 매적리팔라(買的里八刺)
생전 칸호: 恩克可 汗
칸호(汗號): 엘베그 니굴세그츠칸(額勒伯克·尼古坍蘇克齊汗)
* 鞑靼(蒙古大汗)
/在世1362年—1399年/ 在位1394年—1399年
*몽고사 전문가 宝音德力根교수는 원나라 소종때 어머니와 명나라에 포로가 되었다가 돌아온 매적리 팔라가 일베그 대칸(額勒伯克 大汗)이라 하였다.
몽고원류에 탈고사첩목아의 차자(明史 할단열전 기록)라고 했으나 탈고사첩목아의 장자 천보노(天保奴)는 1388년 아버지와 함께 피살되었고, 차자 지보노(地保奴)는 明나라에 의해 유구(琉球)로 유방(流放/유배)되어 탈고사첩목아의 후는 이미 끊어졌다는 기록이 1394년작 황금사(黄金史)에 기록되었다.
1362년에 출생한 额勒伯克 尼古坍蘇克齊可汗이 1350年에 출생한 脱古思帖木兒의 次子가 될 수 없으며 생갑과 이름의 뜻으로 미루어 보아 昭宗의 아들 매적리팔라가 額勒伯克大汗이라고 논증(論證)하였다.
------
参考資料
《中国名人志 第八卷》 > 额勒伯克汗
宝音德力根:《15世紀中葉前的北元可汗世系及政局》蒙古史研究 第六辑
註釋
1.蒙古文見殿本《蒙古源流》卷五和兩《黄金史》。漢語見《欽定蒙古源流》,是經由滿語轉譯譯而得。現代学者多稱其爲可汗。
2.《蒙古源流》作1393年,羅氏《黄金史》《黄金史綱》作1394年
------
○김윤장의 외손 매적리팔라(買的里八剌 1362年-1399)
1370년 조부 혜종(惠宗=順帝) 사후(음력)5월 응창(應昌)에서 어머니 김황후와 함께 명군(明軍)의 포로가 되어 북평(北平)으로 이치(移置). 숭례후(崇禮侯) 관작과 제택(第宅)을 사급받아 5년간 살다 1375년 9월 원나라로 귀환하여 1394년 엔크 조리그트칸의 뒤를 이어 황제의 자리에 올랐다.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