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학자료

계당 김보균 송선비(桂堂金寶均 頌善碑)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성봉 작성일14-09-22 17:07 조회1,464회 댓글0건

본문


桂堂金公寶均頌善碑

桂堂金公寶均(계당김공보균)의 本貫(본관)은 光山(광산)이니 新羅(신라)의 太輔公諱(태보공휘) 閼智(알지)가 藝祖(예조)이고 神武王(신무왕)의 第三子(제삼자) 諱興光(휘흥광)이 광주(光州)의 平章洞(평장동)에 遯居(둔거)하시어 光山金氏(광산김씨)의 分貫祖(분관조)가 되었다.
그 後(후) 世世(세세)로 煊爀(훤혁)하여 東方(동방)의 名閥(명벌)이 되었는데 進士(진사) 諱址鉉(휘지현)이 高祖(고조)이고 諱熙秀(휘희수)의 孺人(유인) 南陽房氏(남양방씨)가 考○(고비)이다.
公(공)은 長男(장남)으로 舊韓(구한) 高宗戊申(고종무신) 一九○八年九月十三日에 出生(출생) 어려서부터 남달리 聰明(총명)하여 初等敎育(초등교육)을 마친 後(후) 獨學(독학)으로 官吏養成所(관리양성소)의 入所試驗(입소시험)에 合格(합격) 一年 修了(수료) 後(후)에 任官(임관)되었고 光復後(광복후)에는 珍島(진도) 靈光(영광) 潭陽(담양) 郡守(군수)와 光州副市長(광주부시장) 等(등)을 歷任(역임)하여 가는 곳마다 寡默(과묵)하고 誠勤(성근)하여 淸白(청백)하고 剛直(강직)한 性格(성격)과 言行(언행)으로 治績(치적)을 擧揚(거양)하여 두터운 信望(신망)을 받았다. 五十三歲의 나이에 敢然(감연)히 官職(관직)에서 自退(자퇴)하여 爲先(위선)과 後進養成(후진양성)에 獻身(헌신) 할 것을 決意(결의)하고 約(약) 二十年間의 歲月(세월)에 許多(허다)한 業蹟(업적)을 이루었으니 그 槪要(개요)를 論擧(론거)하자면 다음과 같다.
光復後(광복후)에 派祖郞將公宗中(파조랑장공종중)의 花樹會(화수회)를 結成(결성) 諸宗(제종)과 合議(합의)하여 鷄林洞(계림동)에 宗會閣兼育英齋(종회각겸육영재)를 建立(건립)하기로 하고 垈地(대지)와 建築費(건축비) 一部(일부)를 提供(제공)하여 建立(건립)하였으며 後續財政(후속재정)의 難關(난관)에 逢着(봉착)하여 實效(실효)를 거두기 어렵게 되자 다시 數億(수억)의 鉅貨(거화)를 獨擔(독담)하여 芝山洞(지산동)에 瑞元祠(서원사)를 세워 郞將同正公(랑장동정공) 諱(휘) 珪(규)와 贈左議政大提學(증좌의정대제학) 光山君諱漢老(광산군휘한로)를 享祀(향사)하고 아울러 弘益奬學財團(홍익장학재단)을 創設(창설) 復性齋(복성재)를 지어 後學(후학)의 育成(육성)을 爲(위)하여 寄宿舍(기숙사)의 提供(제공)과 奬學金(장학금)의 支給事業(지급사업)을 實施(실시)하고 있으며 鄕里(향리)인 舟山(주산)에는 宗中(종중)의 會合(회합)과 悅話(열화)의 자리를 마련하기 爲하여 觀湖齋(관호재)를 建立(건립)하고 維持(유지)를 爲하여 田畓(전답) 十餘斗落(십여두락)을 奉納(봉납)하였고 또 先祖(선조) 瓏齋公(롱재공)께서 構築(구축)하여 當時(당시)의 諸賢(제현)과 詩禮(시례)를 講討(강토)하고 從子(종자) 忠壯公(충장공)이 受學(수학)과 釣魚(조어) 奉親(봉친)한 故事(고사)를 一名(일명) 釣臺(조대)라고도 稱(칭)하는 玲瓏臺(영롱대)의 移建(이건)과 그 直舍(직사) 및 瓏齋公(롱재공) 墓閣(묘각)의 直舍(직사) 新築(신축) 等(등)을 비롯 庚寅亂(경인란)에 燒失(소실)되었던 梨峙(이치) 參判公墓閣(참판공묘각) 重建(중건)이며 監務公(감무공) 및 그 兩胤(양윤)의 設壇奉祀(설단봉사)를 비롯 竪碑治墓(수비치묘) 直舍建立祭田(직사건립제전)의 訴追還收(소추환수)와 義烈祠(의열사) 財産(재산)의 管理(관리) 忠壯祠(충장사) 營建(영건) 等(등) 許多(허다)한 宗事(종사)에 恒時(항시) 앞장을 섰으며 다시 全國(전국) 光山金氏大宗會(광산김씨대종회)의 都有司(도유사)로 推戴(추대)되자 率先(솔선) 鉅金(거금)을 獻誠(헌성)하고 諸宗(제종)의 合力(합력)을 얻어 梧峙洞(오치동)에 大宗閣(대종각)을 建立(건립)하였다. 公(공)은 現在(현재) 八旬(팔순)을 내다보는 高齡(고령)인데도 恒時(항시) 爲先(위선)과 愛族(애족) 그리고 後進養成(후진양성)의 一念(일념)에 불타고 있을 뿐만 아니라 鄕里(향리) 田庄(전장)의 光州(광주) 移買(이매)와 勤儉治家(근검치가)의 餘蓄(여축)을 奉先育英(봉선육영)은 勿論(물론) 救恤宗敎(구휼종교) 等(등)의 公益(공익)에도 貢獻(공헌)한바 至大(지대)하며 그 高尙(고상)한 人格(인격)과 奉仕(봉사)의 精神(정신)에 世人(세인)의 推仰(추앙)을 받음은 勿論(물론) 靑少年(청소년)들의 師表(사표)가 되고 있다. 그래서 지난 겨울 瓏齋公(롱재공)의 墓祀時(묘사시)에 宗議(종의)가 齊發(제발) 公(공)의 頌善碑(송선비)를 세워 後孫(후손)에게 勸奬(권장)의 義(의)를 심어주자고 合議(합의)가 되었다. 公(공)은 國家變亂(국가변란)의 激動期(격동기)를 屢次(누차) 겪으면서도 明哲(명철)한 判斷(판단)과 誠實(성실)한 心德(심덕)으로 無難(무난)히 넘겼으며 겨우 知命(지명)을 넘어선 나이에 勇退(용퇴)하여 많은 업적(業蹟)을 남긴 것은 實(실)로 公의 天稟(천품)이 卓越(탁월)한데 있던 것으로서 우리 宗中(종중)을 爲하여 欣幸을 禁(금)할 수 없는 바이다. 그리고 公의 그만한 業蹟(업적)을 올리는데는 背後(배후)에서 묵묵히 內助(내조) 해왔던 夫人(부인) 原州元氏(원주원씨)의 힘도 컸으니 夫人(부인)은 卓越(탁월)한 孝行(효행)으로 道誌(도지)에 오르기도 했거니와 三男五女의 어머니로서 上奉下率(상봉하솔)과 齊家敦族(제가돈족)에 婦德(부덕)이 높으신 분이다. 이 비를 세움에 있어서 熙善(희선) 應圭(응규) 奉圭(봉규) 紋圭(문규) ○圭(진규) 鍾碩(종석) 鍾杓(종표) 鍾哲(종철) 鍾翊(종익) 琓淳(완순) 諸宗(제종)의 勞苦(노고)가 많았고 碑(비)가 갖추어지자 宗中(종중)의 慫慂(종용)에 依(의)하여 不肖(불초) 鍾琯(종관)은 事蹟(사적)의 大綱(대강)을 謹述(근술)한다.


光山金氏郞將公派瓏齋公宗中(광산김씨랑장공파롱재공종중)
都有司(도유사) 鍾琯(종관) 삼가 지음.
信川(신천) 康仁煥(강인환) 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보학자료 목록

Total 440건 2 페이지
보학자료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20 휘(諱) 자빈(子贇)의 관작(官爵) 성봉 05-21 2457
419 휘 발(潑) 무과급제 기록 성봉 05-06 1629
418 김우징은 청해진에 있을 때 신라왕이라 호칭 성봉 02-21 2461
417 충장공(휘 덕령)유사 성봉 11-05 1441
416 답변글 이준설 님의 견해는 바르지 않습니다. 성봉 11-04 1293
415 답변글 Re..근거 자료 제공 (위로 5세=고조=5세조=5대조=5대...즉 아래 이준설 11-03 2644
열람중 계당 김보균 송선비(桂堂金寶均 頌善碑) 성봉 09-22 1465
413 신라김씨 선원세계 06-27 1400
412 원정공(元靖公) 김희선 (金希善) 성봉 04-26 1486
411 조선조 주요 공신록(功臣錄) 일람 상식 성봉 04-26 1417
410 원나라 제16대황제 소종 황후는 광산김씨 성봉 04-14 4025
409 시조공을 신무왕 3자로 기록한 장성군사 댓글1 성봉 03-12 1646
408 평장사 시조고비 신주 주제 고(始祖考妣 神主 題主 考) 2 성봉 02-07 1302
407 시조공을 神武王子라 기록한 관찰사 金汝鈺 신도비 댓글2 성봉 01-27 1754
406 문숙공 증손 金元之 史料 댓글1 성봉 01-26 1453
405 광산김씨 봉작(光山金氏 封爵) 孤巖/準一 01-10 1701
404 시조공 신주 제주(題主)에 대하여 성봉 12-17 1861
403 廟宇, 祠宇 성봉 11-24 1375
402 朝鮮王朝實錄의 金文發(조선왕조실록의 김문발) 孤巖/準一 10-25 489
401 평장동과 왕자대 위치 그릇된 주장들 성봉 10-23 1869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