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학자료

광김의 또다른 별파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20-02-17 21:15 조회3,428회 댓글0건

본문

성봉님의 자료를 모셔왔습니다.


 ■ 광산김씨 정묘대보, 병자대보에 수록된 별파

 

광산김씨 일족(一族)이로되, 그 파조의 상계(上系)가 실전되어 본종(本宗)과 그 계통을 연결하지 못하고 부득이 파조를 기세조(起世祖)로 하여 세계(世系)를 이어 왔으나 근세에 와서 대부분 다른파에 속해 있으며 일부는 종사불참(宗事不參)으로 인하여 근황을 잘 알지 못한다.

 

1. 평장사 元義 파 - 정묘보 16권 -

휘 원의(초명 光成)는 묘지명에 의하면 수사공 좌복야 휘 位의 장자로 1147년에 출생하여 1217년에 졸하였으며 守太傅 門下侍郞平章事 上將軍을 지냈고 諡號는 景簡公임이 밝혀졌다.

정묘대동보 이전의 족보인 290년 전의 1715년 <乙未譜>와 340년 전의 1664년경 <平章洞世乘>에는 사온직장공 諱 英의 후손이 경간공 諱 元義의 후손으로 기록되어 있다.

 

근년에 펴낸 사온직장공파의 <상계고증자료> 역시 사온직장공파가 경간공의 후손임을 논증하고 있다.

 

정묘대보 이전의 구보를 만들 때 경간공의 외손측 기록을 참고한 것으로 이해된다.

정묘대동보 16권 上 平章事 元義派 첫 머리에 “平章事 元義 以下 7代 載於 舊譜 故依 舊錄之”라 기록하였다

 

정묘대보에 7세까지 등재되었다.

 

2. 호부시랑 正 파 - 정묘보 17권 -

정묘대보에 사정공 휘 의문파로 義文- 璇 - 正으로 등재되어 있으나 휘 정 께서 충혜왕 때(1339-1344) 평안남도 三和지방으로 귀양을 가게 되어 자손이 그 곳에서 세거하게 되었다고 했으므로 사정공 휘 약온(초명 의문)은 1059년생이요 병부시랑 휘 선은 1090년경 생 이니 병부시랑 휘 璇과 호부시랑 휘 正 은 부자관계가 성립될 수 없는 200여년의 년대차가 있다.

휘 정이 사정공 휘 약온의 후손이라면 휘 선과 휘 정 사이에 6~7대가 누락된 것으로 이해된다.

정묘대보에 11세까지 등재되었다.

임인보(1782년刊) 10권에는 14세까지 등재되었다. ​

 

3. 감찰어사 良粹 파 - 정묘보 15권, 병자보 28권 -

휘 양수는 1320년경 생이다.

손자 휘 유보가 1401년에 문과에 급제했고 8세손 휘 전개가 1553년에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11세손 휘 수남이 1624년에 문과에 급제하였다.

 

휘 양수의 후손들은 충남 논산군 은진과 평남 자주(자산)에서 온 김씨라는 뜻으로 8세 휘 전개를 恩津金氏 관조로, 11세 휘 수남을 慈州金氏 관조로 한 기록도 있다.

휘 전개와 휘 수남의 급제기록에는 본관이 모두 광주로 되어 있다.

정묘대보에 16세까지, 병자대보에 19세까지 등재되었다.

 

4. 부사 自敏 파 - 정묘보 16권 별편-

휘 자민은 1350년경 생으로 동래부사를 지냈으며 아들 휘 난은 현풍현감을 지냈고 9세손 휘 성일은 1593년생으로 1637년(인조15 정축)에 무과에 급제하였다.

 

판서 李縡가 지은 휘 成一의 비문이 있다.

<丁丑庭試文武科榜目>에 의하면 金成一은 선전관(宣傳官)으로 부는 우후(虞侯) 김준민(金俊民) 형은 김성구(金成九)라 하였는데 정묘대보에는 형 성구가 성일의 아우로 기록되어 있다. 이 파는 담양과 광주일원에 세거하였다.

 

정묘대보에 14세까지 등재되었다.

 

5. 비순위낭장 自賢 파 - 병자보 29권 -

휘 자현은 고려말기 사람으로 후손은 함북 길주와 경기도 개성지방에 세거하였다.

 

2세 휘 九冏은 1405년과 1409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직제학을 지냈다

휘 구경의 면주에 자손이 길주에 거한다 하였고 2세부터 자손 대대의 묘소가 길주군 덕산면에 있다 하였다.

 

사온직장공(휘 영)의 구보에 사온직장공의 증손 희정공 휘 청의 자손이 덕산에 세거한다 하였는바 이 파와 사온직장공 파가 한 집안일 개연성이 있다.

 

휘 구경의 子 晶은 족보에는 등재되어 있지 않으나 조선왕조실록에 의하면 안평대군 章昭公 李瑢과 가깝다 하여 世祖의 모함으로 1453년(단종1) 11월 11일에 죽임을 당했으며 正祖朝에 신원되어 248년 후인 1791년(정조15) 2월 21일에 장릉배식단에 배향되었다.

 

직제학공 휘 구경 이하 후손은 대대로 무반에 적을 두었으나 13세 휘 광진(1623년생)이 길주 출신으로 1654년(효종5) 문과에 급제했으며 휘 광진의 6세손인 19세 휘 기형(1815년생)이 1876년(고종13)에 문과에 만년 급제한 기록이 있다.

 

병자대보에 22세까지 등재되었다.

 

6. 현감 泰吉 파 - 정묘보 15권 -

휘 태길은 1360년경 생이다.

이 파는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에 세거하였다.

정묘대보에 13세까지 등재되었다.

 

 

7. 현령 祉 파 - 별편 16권 -

휘 지는 1490년경 생으로 현손 휘 수는 1606년생이다.

이 파는 1749년 정모대보 수보 당시 자손이 황해도 황주에 세거하였다.

휘 지 께서 울진현령을 지냈으며 현령공의 아들 大任은 (전라북도)茂長훈도를 지냈다.

정묘대보에 9세까지 등재되었다.

 

8. 총제 南斗 파 - 정묘보 16권 별편 -

휘 남두는 1370년경 생으로 황해도 봉산에 始居 했는데

태종조에 좌군동지총제를 지냈다.

정묘대보에 13세까지 등재되어 있다.

 

9. 사마 敬厚 파 - 정묘보 16권 별편 -

김경후는 1390년경 생으로 자손의 묘는 평양지방에 있다.

9세 金世熙(1626년생)의 문과방목, 10세 金兌起(1651년생)의 무과방목, 후손 金秉鍵(1824년생)의 문과방목에 본관이 廣州金氏로 기록되었다.

 

정묘대보에 일부 자손은 16세까지 등재되었다.

 

10. 孝孫 파 - 정묘보 별편 16권 -

효손파의 첫 머리에 “효손이 삼사사(휘 승사)파의 맹균의 자손으로 보이나

구보에 등재되어 있지 않고 문적이 없으니 孝孫부터 始錄한다“고 하였다

후손이 주로 전남 낙안에 세거하였다.

정묘대보에 11세까지 등재되었다.

 

11. 평양판관 ????(긍) 파 - 정묘보 16권 별편 -

휘 긍은 1400년경 생이다.

4세 金應秋(1499년생)의 생원 진사방목에 본관이 廣州로 나온다

정묘대보에 12세까지 등재되었다.

 

 

12. 생원 益貴 파 - 정묘보 별편 16권 -

휘 익귀는 1340년경 생으로 후손의 묘는 전남 영암지방에 있다.

정묘대보에 14세까지 등재되었다.

 

13. 병조판서 漢龍 파 - 정묘보 17권 -

휘 한용은 1310년경 생으로 후손은 용인, 수원 등 경기도 일원에 세거하였다.

정묘대보에 15세까지 등재되었다.

 

14. 鸞 파 - 정묘보 17권 -

휘 난은 1470년경 생으로 전라남도 務安과 나주일원에 후손의 묘가 있다.

정묘대보 17권 鸞 파 첫머리에 (정묘대보 이전의)“兩(두)修牒에 (휘 鸞의 아들) 自讓이하가 (양간공 후)恭安公 謙光파로,

(다른 譜牒에) 鸞 이하가 (문숙공 후) 예조판서공 承魯파로 등재되어 있었다.

嘉靖 壬辰(1532년)의 睦氏부인 <分財文記>와 5세손 日用의 萬曆 乙卯(1615년)의 帳籍에 依해 鸞 부터 始籍한다” 하였다.

살피건데 휘 난은 휘 겸광의 3자 휘 克煏의 증손 휘 德鸞과는 다른 사람이다.

 

휘 덕란은 1591년생이고 그의 3子 휘 自鍾이 1629년생이므로 정묘대보 별편에 있는 휘 鸞과는 동일인이 아님이 명백하다.

 

1532년에 작성된 諱 鸞의 부인 睦氏의 <分財文記>에 그의 아들 自讓과 自運 형제가 기록되어 있으니 휘 덕난의 자 自鍾보다 100여년 앞선 사람이다.

정묘대보에 10세까지 등재되었다.

 

15. 在鎔 파 - 정묘보 17권 -

정묘대보에 8세까지 등재되었다.

 

16. 在鑛 파 - 정묘보 17권 -

휘 재광의 묘는 함평 분토동에 있고

손자이하의 묘는 영광 남면에 세장되어 있다.

정묘대보에 7세까지 등재되었다.

 

17. 부호군 光武 파 -정묘보 17권 -

후손의 묘는 청주일원에 있다.

정묘대보에 8세까지 등재되었다.

 

18. 世秋 파 - 정묘보 17권 -

휘 세추의 묘와 2세 휘 신길의 묘는 전라남도 화순에 있으며 그 이하는 전남 장성에 있다.

 

자손이 전남지방에 세거하였다.

정묘대보에 6세까지 등재되었다.

 

19. 목사 世眞 파 - 정묘보 17권 -

후손의 묘는 춘천지방에 있다.

정묘대보에 10세까지 등재되었다.

 

20. 첨사 秀汴 파 - 정묘보 17권 -

후손의 묘는 안동일원에 있다.

정묘대보에 9세까지 등재되었다.

 

21. 부사 世寶 파 - 정묘보 17권 -

이 파의 묘는 대대로 강화지방에 있다.

정묘대보에 9세까지 등재되었다.

22. 현감 敬一 파 - 병자보 29권 -

후손의 묘는 공주지방에 있다.

병자대보에 12세까지 등재되었다.

 

23. 병조판서 개 파 - 병자보 29권 -

丙子大譜典理判書光利五世孫司正漢佑子而無文蹟可徵故錄于此라 했으나

1984년 양간공파보(갑자보)에 수록되어 있지 않다.

병자대보에 17세까지 등재되었다.

 

24. 참봉 應 파 - 병자보 29권 -

휘 응의 묘는 경기도 長湍 坊築洞에 있고 후손의 묘는 경기도 楊州일원에 있다.

병자대보에 13세까지 등재되었다.

 

25. 貞澤 파 - 병자보 29권 -

병자대보에 6세까지 등재되었다.

 

26. 萬銓 파 - 병자보 29권 -

병자대보에 7세까지 등재되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보학자료 목록

Total 440건 1 페이지
보학자료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40 김전개(金田漑)는 광산김씨 댓글1 최고관리자 02-14 183
439 김정필(金廷弼) 사마방목 최고관리자 09-17 369
438 조선과환보 광산김씨 편 최고관리자 01-31 2757
437 평장대보 계보와 세수 최고관리자 03-17 3069
436 16세 김성우(金成雨) 장군 최고관리자 03-15 2975
435 光山金門을 빛낸 고려시대 金位의 후손들 최고관리자 02-24 4791
434 삼한갑족이란 최고관리자 02-22 3334
433 또다른 광산김씨 최고관리자 02-17 4877
열람중 광김의 또다른 별파 최고관리자 02-17 3429
431 헌강왕자설은 명백한 오류 댓글1 최고관리자 02-09 2247
430 도올 容沃 일가 상계 댓글1 성봉 05-24 2874
429 동명이인(同名異人) 김석원(金錫元) 댓글1 성봉 12-11 239
428 화평부원군 후 部將公 휘 반(攀) 후손께 알림 성봉 01-14 2002
427 상호군공 諱 承晉 子 諱 積善 사위 성봉 01-13 1796
426 현감공 휘 가연(可涓) 배위(配位) 댓글1 성봉 01-12 1751
425 400년전 나주를 만나다 댓글1 정암 12-19 2217
424 아산현감공 휘 海壽 묘갈명 성봉 09-27 1905
423 광산김씨 직계 계보도 이해를 위한 신라 역대국왕 링크 09-08 2618
422 현감공 휘 鐸의 長孫系 성봉 10-17 1736
421 휘 민선(敏善) 운영자 09-11 1647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