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학자료

삼한갑족이란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20-02-22 23:15 조회3,333회 댓글0건

본문

 성봉님의 자료를 모셔왔습니다.

 

代代門閥이 있는 姓氏(姓貫)를 흔히 "三韓甲族"이라고 하는데 게시판의 어느 글에 '三韓新羅,高麗, 朝鮮한다'고 하였기에 三韓하여 몇자 적습니다.

 

三韓이란 馬韓, 辰韓, ()함인데 辰韓檀君直接 統治하던 辰朝鮮이 뒤에 辰國이 되고 또 뒤에 辰韓이 되었으니 "遼史地理志"扶餘爲辰韓地라 하였고 또 同書辰州 本高句麗 蓋牟城 改 蓋州 又改 辰州 謂辰韓地也라 하였으며 "盛京通志"蓋平縣 周屬朝鮮 本辰韓地라 하였고 同書復州(遼東半島南方) 周時 朝鮮界 辰韓地 寧海(金州) 周時 朝鮮界 辰韓地라 하였으며 "古今圖書集成"奉天府 蓋平縣 周屬朝鮮 本辰韓地라 하였고 "周書"辰州 謂州 謂本辰韓之地也라 하였으며 "太白逸事"辰朝鮮 天王自爲而地則乃舊辰韓也 政山天王 三韓皆一統就令也 命黎元興 爲馬韓治莫朝鮮 徐于餘(箕子)爲 番韓治 番朝鮮總之名曰 檀君 管境是則辰國 史稱 檀君朝鮮이라 하였다.

 

()番朝鮮이 뒤에 ()으로 되었으니 番朝鮮辰朝鮮 西便(朝陽부근)에 있었으니 "太白逸事"하면 檀君王儉蚩尤後孫 蚩頭男番朝鮮王으로 삼고 險瀆都邑으로 삼았다고 하였다. 同書에 그 뒤 檀君索弗婁徐于餘(箕子)番韓王으로 삼았다고 하였다. "史記"澎吳買滅朝鮮 置蒼海郡 澎吳人名 朝鮮番名也라 하였으니 朝鮮番名이란 番朝鮮指稱함이라 여겨진다. "唐書" 渤海傳大祚榮盡得 扶餘 沃沮 弁韓(番汗) 朝鮮海北諸國이라 했으며 "高麗史"高麗世祖(王隆) 說弓裔之言 大王 若王朝鮮 肅愼 卞韓(番汗) 莫如先占 松嶽이라 하였으니 卞韓이 처음에는 渤海灣 北쪽에 있었음을 알 수 있다.

 

馬韓()朝鮮이 뒤에 馬韓이 되었으니 太白逸事하면 檀君王儉態伯多馬韓王으로 하였다 하였으며 그 뒤 檀君索弗婁黎元興馬韓()이라 하여 莫朝鮮統治하게 하였다."史記" 朝鮮傳前燕時 嘗略屬辰番朝鮮이라 하고 그 徐廣 曰 一作 莫이라 하였으니 ,番朝鮮 以外莫朝鮮이 있었다는 의미일 것이다.

 

"潛確類書"黃海道 古朝鮮 馬韓舊地라 하였으며 "東國與地勝覽"에도 馬韓則 高句麗 辰韓則 新羅地라 하였고 "帝王韻記"開國 馬韓王儉城 今西京야라 하였으니 莫朝鮮韓半島位置 하였다가 뒤에 馬韓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三韓 卽 辰韓,馬韓, ()''이라는 字源(本來 )'井幹'이니 ''聲符가 되고 ''이 의미 요소인 義符가 되며 '(우물)'古代語에서 '' ''을 상징하는 文字로서 '井幹(우물 난간)'은 백성/국가를 지키는 난간() (=khan)을 의미하며 이것은 알타이에서 國王을 의미하는 一般명사 칸(khan)同一 語源이다. 古代音은 캄(kham)으로khan-han으로 음운변화 하였으며 (han)은 알타이인데 우리의 경우 , 몽고만주, 新羅語居西干, 가야의 九干, 日本語의 기미(, ), 기미(, )이 서로 비슷한 알타이이다.

 

몽골中央아시아에 세운 一汗(), 챠카타이(), 킵챠크(), 오고타이()國 等은 징기스칸(khan)의 칸과 같은 말이며 우리의 (우물난간)과도 同一 語源이다.

 

"桓檀古記" 三韓管境本紀檀君王儉朝鮮開國나라를 '三韓'으로 나누어 다스렸다고 하였으며 나라의 行軍摠管 薛仁貴新羅에 보낸 글에서 '一統三韓'이라 하였고 新羅末 崔致遠'古三韓地 今朝鮮之' 라 하였으며 高麗중엽 나라 蘇軾(: 東坡)文安公(: 良鑒)에게 준 唱和詩에서 '三韓使'라 하였은즉 三韓新羅,高麗,朝鮮指稱함이 아님을 알 수 있다. / 晟峰.

-----------------------------------------------------------------------------

우리말과 우랄알타이語族의 말이 비슷한

 

*아버지=몽고'바바',테레우트, 키실 타르타르'아바이' (함경도지방 '아바이')

*어머니=퉁그스'엄니'(전라도지방 '엄니'), 몽고''

*엄지 =골디'어무지', 퉁그스'어문', 만주'엄케'(唯一의 뜻)

*가다 =몽고'', 퉁그스''

*() =몽고'가니'

*감다 =몽고'가마', 터키'가마'

*가라()=몽고, 터키'가라', 일본'구로'

*가람 = 몽고'가람'

*가위 =퉁그스'가잇'

*거미 =퉁그스'구미건', 일본'구모'

*건드리다=몽고'건들'

*고리(Basket)=일본'고리'

*고리(鐵輪)=몽고'고리', 퉁그스'고르기'

*고랑 =퉁그스'고랑', 몽고, 돌궐'오랑'

*구렁이=퉁그스'구리'

*굿 =퉁그스'구두'(幸運), 만주'구두' 몽고'쿠둑'(幸福),

돌궐''(幸運)

*너울너울=만주'니오와리 니오와리'

*당기다=만주'당기구'(당기는 도구)

*더미 =퉁그스'더미런'

*덤불 =퉁그스'덤불테'

*덮다 =퉁그스'덮구'

*도가니= 몽고'도간'

*도끼 =퉁그스'둑가'

*=퉁그스''

*(mound=퉁그스'두구'

*() =몽고,터키'', 만주'모린'

*() =몽고, 퉁그스'마라'

*마라(中止)=만주'마라'

*실컷 =몽고, 퉁그스'실은 목'('''~까지'의 뜻)

*() =퉁그스, 골디''

*몰다(Drive)=퉁그스'무르구'

*바지 =유구'밧시'

*博士 =몽고'확시', 골디, 올차, 카라 키르키즈, 코자크'박시'

*버릇 =아이누'부리'

*비록 =위그르'비로억'

*(cheek)=골딕'볼지', 올차'불리'

*사다리 =몽고'사두', 돌궐''

*사돈 =골디, 몽고'사둔', 길목'사든'

*=터키''

*송골매=몽고'송고르', 위그르어로 '숭괄'

*송곳 =몽고'송콜'

*아침 =터키어, 위그르'아츠'('연다'는 뜻)

*무섭다=만주'무숙사', 퉁그스'머서'

*()=몽고'나란'

*누이 =퉁그스'눙아이', 라므트''(nuh)

*알록알록=몽고'알락'

*오른쪽 왼쪽=내몽고'오룬쭉 운죽'

*오랑케=몽고'우랑카이'

*오리 =골디'오이레', 퉁그스'우레'

*타령 =퉁그스'티링', 몽고'테링'

 

參考: 朴時仁著 알타이文化史 硏究 / 성봉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보학자료 목록

Total 440건 1 페이지
보학자료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40 김전개(金田漑)는 광산김씨 댓글1 최고관리자 02-14 183
439 김정필(金廷弼) 사마방목 최고관리자 09-17 368
438 조선과환보 광산김씨 편 최고관리자 01-31 2756
437 평장대보 계보와 세수 최고관리자 03-17 3069
436 16세 김성우(金成雨) 장군 최고관리자 03-15 2975
435 光山金門을 빛낸 고려시대 金位의 후손들 최고관리자 02-24 4790
열람중 삼한갑족이란 최고관리자 02-22 3334
433 또다른 광산김씨 최고관리자 02-17 4877
432 광김의 또다른 별파 최고관리자 02-17 3428
431 헌강왕자설은 명백한 오류 댓글1 최고관리자 02-09 2246
430 도올 容沃 일가 상계 댓글1 성봉 05-24 2873
429 동명이인(同名異人) 김석원(金錫元) 댓글1 성봉 12-11 239
428 화평부원군 후 部將公 휘 반(攀) 후손께 알림 성봉 01-14 2002
427 상호군공 諱 承晉 子 諱 積善 사위 성봉 01-13 1795
426 현감공 휘 가연(可涓) 배위(配位) 댓글1 성봉 01-12 1751
425 400년전 나주를 만나다 댓글1 정암 12-19 2216
424 아산현감공 휘 海壽 묘갈명 성봉 09-27 1904
423 광산김씨 직계 계보도 이해를 위한 신라 역대국왕 링크 09-08 2617
422 현감공 휘 鐸의 長孫系 성봉 10-17 1736
421 휘 민선(敏善) 운영자 09-11 1647
게시물 검색